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조선

농사직설

by 산골지기 2016. 11. 3.
728x90

《농사직설》(農事直說)은 농사의 개설을 해설하여 놓은 농서(農書) 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책이다. 조선 전기의 대표적 농서로 영농 지침서 역할을 하였다.

조선 세종이 정초(鄭招) 등에게 명하여 1429년(세종 11년)에 편찬했다. 종래에는 중국의 농서에만 의존해 왔으나 세종은 풍토에 따른 농법의 차이를 고려하여 각 도 농부들의 경험을 토대로 우리나라 기후 풍토와 조선의 실정에 알맞은 농법을 저술하게 되었다.

 

내용을 보면, 먼저 일반론으로서 종자와 토양을 다루는 법을 설명하고, 각론(各論)으로 각종 작물의 재배법을 간결하게 서술하고 있다.

 

♣ 이 책에서 당시 남부 지방 일부에서

행해지고 있는 이앙법을 처음 소개하였다.

 

이 책은 내용이 중요 곡식류에 국한되고 또 자세하지 못한 흠은 있으나 (농업과 농촌에 필요한 것을 망라한 농촌 생활 백과사전은 아니었다) 농서의 효시로서, 또 한국식의 농법을 편 자주적 저서로서 농업 기술의 변천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이다.

참고 : 2004년 농촌진흥청에서 고농서국역 총서 7로써 "농가집성(農家集成)"을 출간했다. 농가집성은 농사직설의 내용을 고치고 .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전자책(http://lib.rda.go.kr/newlib/index.asp) 으로 "농가집성"의 한글 번역본을 볼 수 있다

 

 

농 사 직 설

남부 지방 일부에서

행해지고 있는 이앙법을 처음 소개

 

 

 

 


728x90
반응형

'우리 역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종 폐위 사건  (0) 2016.11.08
중종반정  (0) 2016.11.06
숙종  (0) 2016.10.28
조선 후기의 농촌 사회 변동  (0) 2016.10.23
조선시대 전기와 후기의 상업  (0) 2016.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