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장춘(禹長春, 1898년 4월 8일 ~ 1959년 8월 10일)은 일본 도쿄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농생물학자, 식물학자, 원예육종학자이며 농학박사 및 예비역 대한민국 해군 소령이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일본에서 한국으로 건너왔으며, 아버지의 오류가 한평생 짐이 되었으나 한국의 식물학과 농학을 이끌었다.
을미사변 당시 명성황후 살해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던 조선인 우범선(禹範善)과 일본인 어머니 사카이 나카(酒井ナカ)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1898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명성황후의 원한을 갚고자 했던 고영근에 의해 그의 아버지 우범선이 살해됐고, 과부가 된 그의 일본인 어머니는 우장춘을 사찰에 맡겼다. 그의 아버지 우범선은 조선에서 훈련대대장을 역임하던 중 일본인 자객들과 함께 공모하여 명성황후를 살해했으며, 그 이후 일본으로 도망쳤다.
우범선은 1903년 고영근에 의해 암살되었으며 이후 어머니의 손에 자라게 되었다.
1916년 4월 동경제국대학 농학실과에 입학했다. 대학교 졸업 후 일본 농림성 농사시험장 고원(雇員)으로 취직했고, 그를 아꼈던 데라오 박사의 도움으로 농사시험장 기수(技手)가 됐다. 1936년 5월 4일에는 그의 모교에서 “종(種)의 합성”이라는 논문으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9년에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창설한 이승만 정부는 우장춘에게 연구소의 운영을 부탁했고, 그는 1950년 3월 8일 대한민국에 귀국했다.
우장춘은 일본인 부인과 자녀들을 일본에 남겨두었을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한국어 교육을 전혀 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이승만 정부는 우장춘을 믿지 못했고, 그의 출국을 금지했다.
모친상 때 조차 그는 일본에 돌아가지 못했고 원예시험장의 강당에서 어머니의 위령제를 지냈으며, 그 당시에 받았던 조의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원예시험장에 물이 부족했기에 '자유천'이라는 우물을 파내도록 하고 사용하게 하였다.
채소종자의 육종합성에 성공하고 벼의 수도이기작(水稻二期作)을 연구하였다. 우장춘 박사는 씨 없는 수박을 만들기도 했는데 이는 농업과학협회에서 개발된 여러 작물 종자들을 보급하기 위해 홍보용으로 만든 것이었다.
씨 없는 수박을 처음 만든 사람은 일본인이며 기하라 히토시가 1943년에 만들었다. 우장춘 박사는 이것을 한국에서 만들어 시연하였기에 우장춘 박사가 씨 없는 수박을 최초로 만든 사람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1957년 부산시 제1회 문화상 과학부문상을 받았다.
1958년 농사원 원예시험장장이 되고,
1959년 두 번째로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았다.
그의 연구소는 학생들의 수학여행 견학코스가 되기도 하였고 연구소에서는 늘 고무신 차림이었기에 '고무신 박사'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한국에 온 지 9년이 되던 1959년 8월 10일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향년 62세. 그의 묘소는 경기도 수원 농촌진흥청 내 여기산에 있으며, 2003년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