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양사

쿠샨 왕조

by 산골지기 2015. 10. 5.
728x90

기원전 2세기 무렵 한 무제의 공격으로 서쪽으로 이주한 흉노는 오늘날 신장 성으로 진출하였다.

 

이에 원래 그곳에 거주하고 있던 월지족이 흉노의 공격을 피해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으로 이주하며 아프가니스탄에 거주하던 샤카족을 밀어냈다. 샤캬족은 박트리아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펀자브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당시 이들 민족의 이동은 정복 활동이 아닌 이주를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정착 지역의 문화에 빠르게 흡수되었다.

 

기원전 1세기 말, 아프가니스탄 지역에 정착하였던 월지족은 서서히 부족을 통합하며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인도에 진출하여 샤카족을 제압하고 펀자브 지역을 장악하여 나라를 세웠다. 이 결과 쿠샨 왕조가 성립되었다.

 

 

쿠샨 왕조는 대략 4시기로 나뉘는데

 

카니슈카 왕은 제2왕조를 시작한 왕이다.

 

 

1왕조는 펀자브 지방까지 영토를 확장하였지만, 권력 다툼으로 분열되었다.

카니슈카 왕은 분열된 쿠샨 왕조를 재통일하고 갠지스 강 유역까지 진출하여 북인도 전체를 지배하였다.

 

 나아가 중앙아시아ㆍ이란까지 영토를 넓혀 동으로는 갠지스 강 중류, 서로는 아프가니스탄, 남으로는 중북부 지역의 산치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였다.

 

 비록 마우리아 왕조에 비하면 좁은 영토였지만 카니슈카 왕은 뛰어난 행정 능력을 발휘하여 마우리아 왕조보다 강력한 군주로서 왕권을 확립하였다.

 

카니슈카 왕이 강력한 군주로서 왕권을 확립하였다는 것은 쿠샨의 왕들이 ‘대왕’ 또는 ‘왕의 왕’ 또는 중국의 ‘천자(天子)’와 비슷한 왕호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현재 남아 있는 당시의 화폐에 페르시아의

 

여러 신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아 카니슈카 왕이

 

처음에는 조로아스터교를 믿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이후 불교로 개종하였으며, 불교를 보호하여 불교계에서 여러 고승이 배출되었다. 그리고 불교가 세계 종교로의 성격을 강화해 다른 지역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카니슈카 왕은 왕권 강화 정책의 하나로 학문과 불교를 장려하였다. 이를 통해 불교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불교에서는 왕실의 통치에 협조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대승 불교가 등장하였다.

 

 

이렇게 탄생한 대승 불교는 지배자들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성격이 있었으며 카니슈카 왕은 이를 널리 보급하여 자신의 통치력을 강화하였다.

 

 

728x90
반응형

'동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의 반란  (0) 2015.10.06
한의 전개  (0) 2015.10.05
동남아 역사  (0) 2015.10.05
동아시아 한문학의 금자탑-- 계원필경  (0) 2015.10.03
토황소격문  (0) 2015.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