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데이/일상

손해평가사의 적과후 착과량

by 산골지기 2025. 1. 29.
728x90

손해평가사의 적과후 착과량 조사는 농작물재해보험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조사는 과수 품목의 피해율 산정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정확성이 매우 중요합니다.적과후 착과수 조사는 사과, 배, 단감, 떫은 감과 같은 과수 품목을 대상으로 하며, 농작물 재해보험에 가입한 모든 과수원에서 실시됩니다. 이 조사는 일반적으로 적과 및 자연낙과가 종료되는 시점에 수행됩니다.2조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번 확인
  2. 나무 조사
  3. 조사 대상주수 계산
  4. 적정 표본주수 산정
  5. 표본주 리본 부착
  6. 착과수 조사 및 기록

조사 대상주수는 실제 결과주수에서 미보상주수, 고사주수, 수확불능주수를 제외한 수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품목별 표본주수표에 따라 적정 표본주수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조사 대상주수가 930주라면 16주를 표본으로 선정하게 됩니다.

여러 품종이 섞여 있는 경우, 각 품종별로 표본주를 선정해야 합니다.

2 선정된 표본주에 리본을 부착하고, 각 표본주의 착과수를 세어 현지조사서와 리본에 기록합니다.2

적과후 착과량의 중요성:

  1. 피해율 산정의 기준: 적과후 착과량은 피해율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착과감소과실수는 평년착과수에서 적과후착과수를 뺀 값과 최대 인정감소과실수 중 작은 값으로 결정됩니다.
  2. 최대 인정감소과실수 계산: 최대 인정감소과실수는 평년착과수에 최대 인정피해율을 곱하여 산출합니다.3
  3. 보험금 산정: 적과후 착과량은 보험금 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착과감소량은 평년착과량에서 적과후착과량을 뺀 값으로, 이는 보상 대상이 되는 손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6
  4. 기준착과수 결정: 적과후착과수는 보험금 지급의 기준이 되는 기준착과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적과 종료 전에 인정된 착과감소과실수가 없는 경우, 적과후착과수가 기준착과수가 됩니다.8

따라서, 손해평가사의 적과후 착과량 조사는 정확한 보험금 산정과 공정한 보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조사의 정확성은 농작물재해보험 제도의 신뢰성과 효과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