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데이/일상

손해평가사 자격증 시험에서 과실손해보험금 산정

by 산골지기 2025. 1. 29.
728x90

손해평가사 자격증 시험에서 과실손해보험금 산정은 중요한 주제입니다.

과실손해보험금 계산에는 여러 요소가 고려됩니다:

  1. 적과 전후 구분: 적과 전에는 종합위험(자연재해, 조수해, 화재)을 보장하고, 적과 후에는 특정 위험 7종(태풍, 강풍, 집중호우, 지진, 화재, 우박, 일소, 가을동상)을 보장합니다.1
  2. 피해 유형별 보상:
  • 태풍, 강풍, 집중호우, 지진, 화재: 낙과 피해와 간접적인 착과 손해를 보상합니다. 사과와 배의 경우 낙과 감수 과실수의 7%를 추가로 보상합니다.
  • 단감, 떫은 감: 낙엽 피해를 측정하여 보상합니다.
  • 우박, 일소, 가을동상: 착과 손해와 낙과 피해를 모두 보상합니다.
  1. 감수 과실수 산정:
  • 낙과 감수 과실수
  • 착과 손의 감수 과실수
  • 나무 손의 감수 과실수
  • 낙엽 손해 (단감, 떫은 감의 경우)

이러한 요소들을 합산하여 누적 감수량을 계산하고, 여기서 자기부담 수량을 뺀 후 가입 가격을 곱하여 최종 보험금을 산정합니다.

  1. 피해 구성률 산정:
  • 피해 정도에 따라 100%, 80%, 50%, 정상으로 분류합니다.
  • 피해 구성률 = (피해 과실수 × 가중치) ÷ 전체 과실수
  • 가중치: 100% 피해 = 1, 80% 피해 = 0.8, 50% 피해 = 0.5, 정상 = 0
  • 표본 조사 시 피해 구성률을 이용해 전체 과수원의 피해를 추정합니다.
    1. MaxA 개념:
      이전 사고로 인한 착과 피해 구성률을 새로운 피해 산정 시 제외합니다. 이는 중복 계산을 방지하고 정확한 현재 피해 규모를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2. 특정 위험별 고려사항:
    • 우박: 적과 전후 피해 구분
    • 일소: 소손해면책 적용 (피해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만 보상)
    • 가을동상: 낙엽으로 인한 정상 과실의 피해 인정 계수 적용2
    이러한 복잡한 계산 과정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손해평가사의 중요한 역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