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타산의 천은사에서 저술한 제왕운기
제왕운기는 상하 2권 1책으로 되어 있습니다.
상하 2권 1책으로 되어 있는 제왕운기는 이승휴가 말년에 삼척 두타산의 천은사에서 저술하였습니다.
제왕운기 |
상하 2권 1책으로 구성 |
이승휴가 말년에 삼척 두타산의 천은사에서 저술 |
중국의 역사와 우리 나라의 역사를 대등하게 견주어 읊은 서시시 |
상하 2권 1책으로 되어 있는 제왕운기는
상권에서는 중국의 역사를 하권에서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다루었는 데요
중국의 역사와 우리 나라의 역사를 대등하게 견주어 읊은 서시시입니다.
제왕운기에 기록된 단군조선에 대한 내용을 우리말로 해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처음에 누가 나라를 세워 세상을 열었는가?
석제(釋帝)의 자손으로 이름은 단군(檀君)이라네.요(堯)임금과 함께 무진년에 나라를 세워 순(舜) 임금 때를 지나 하(夏)나라 때까지 왕위에 계셨도다.
은(殷)나라 무정(武丁) 8년 을미년에 아사달 산으로 들어가 산신이 되었네.
나라를 다스린 지가 1,028년으로, 어찌 변화시켜 환인께 전할 것이 없었겠는가?
그 뒤 164년 만에 어진 사람이 다시 군신(君臣)관계를 다시 열었도다
이승휴는 단군에 대한 기록에서 단군이 은(殷)나라 무정(武丁) 8년 을미년에 아사달 산으로 들어가 산신이 되었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아사달산은 황해도 구월산을 말합니다.
세종실록지리지 평양조에도 단군이 황해도 구월산인 아사달로 들어가 산신이 되었다고 기록을 했습니다.
●제왕운기의 구성
제왕운기는 상권과 하권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요
상권(上卷)은 중국의 신화시대인 삼황오제에서부터 원나라 시대까지의 역사를 적었습니다.
중국의 역사를 적은 제왕운기 상권은 중국의 역대 왕과 그 사적을 7언시로 적었고요
264구 1848자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제왕운기의 하권은 우리 나라의 역사를 적었는 데요 우리나라의 역사를 고려시대 이전과 고려시대로 나누었습니다.
고려시대이전의 역사를 다룬 1부는 동국군왕개국연대(東國君王開國年代)인데요
단군으로부터 삼국시대, 발해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사실을 7언시로 적었습니다.
하권의 1부는 264구 1848자로 되어 있습니다.
제왕운기 하권의 2부인 본조군왕세손연대(本朝君王世孫年代)에서는
고려 태조로부터 충렬왕 당시까지의 역사를 적었는데요 5언시로 적는 가운데 152구 7160자로 되어 있습니다.
제왕운기의 하권 |
우리 나라의 역사를 기록 |
1부 동국군왕개국연대(東國君王開國年代) |
2부 본조군왕세손연대(本朝君王世孫年代) |
제왕운기에는 사이사이에 주가 있습니다.
제왕운기는 자주적인 역사관을 잘 내포하고 있고요 원나라 간섭기에 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중요한 책이었습니다.
중국역사와 우리의 역사를 대등하게 기술한 것이 제왕운기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제왕운기의 간행
제왕운기는 충렬왕 13년에 완성되었는 데요 완성한 후에 바로 간행되지 않고
9년 후에 진주목에서 처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진주목에서 처음으로 발간되었던 초간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습니다.
제왕운기의 완성과 간행 | |
제왕운기의 완성 | 충렬왕 13년에 완성 |
제왕운기의 간행 | 완성된지 9년 후에 진주목에서 처음으로 발간 |
'투데이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에 편찬된 동국통감 (0) | 2023.12.28 |
---|---|
왕초보, 부동산 어떻게 투자할까요? (0) | 2023.08.12 |
일제 시대에 나온 잡지 (0) | 2023.08.09 |
김유정의 동백꽃 (0) | 2023.07.02 |
산비둘기 (0) | 2023.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