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대회 참가자들이 그릴 장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가락바퀴로 실을 뽑는 모습
2. 반달 돌칼로 벼이삭을 따는 모습
3. 주먹도끼로 짐승을 사냥하는 모습
4. 거푸집으로 세형 동검을 만드는 모습
위의 문제는 구석기 시대의 생활과 관련한 문제 입니다.
경기도 연천 전곡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구석기 유적지인데요 이 곳에서 많은 구석기 유물들이 발견이 되었습니다.
경기도 연천 전곡리 구석기 유적지는 미군 병사 보웬이 발견을 하였는데요 보웬은 휴일에 애인과 데이트를 하는 도중에서 이 곳에 있는 구석기 유물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가락바퀴로 실을 뽑는 모습은 신석기 시대와 관련한 것이고요 반달 돌칼로 벼이삭을 따는 모습은 청동기시대와 관련한 것입니다. 주먹도끼로 짐승을 사냥하는 모습은 구석기 시대와 관련한 것이기 때문에 이 문제의 답은 3번입니다.
그리고 거푸집으로 세형 동검을 만드는 모습은 철기시대와 관련한 것입니다.
2. 학생들이 공통으로 이야기하고 있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2 소도라고 불리는 신성 구역이 있었다.
3 범금 8조를 만들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다.
4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있었다.
위의 문제에서 학생들은 삼한에 대해서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던 나라는 고구려이고요 소도라고 불리는 신성 구역이 있었던 곳은 삼한이기 때문에 답은 2번 입니다. 삼한은 제사와 정치가 분리된 가운데 제사장인 천군은 소도라는 신성구역에 거주를 하였습니다.
범금 8조를 만들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던 나라는 고조선이고요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있었던 곳은 동예 입니다.
- 3.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태학을 설립하였다.
2 병부를 설치하였다.
3 화랑도를 정비하였다.
4 웅진으로 천도하였다.
위의 문제는 고구려의 제도정비를 완성한 소수림왕과 관련한 내용입니다.
소수림왕은 고국원왕의 아들인데요 불교를 수용하고 통치체제를 정비하였습니다.
소수림왕은 국립교육기관인 태학을 설립하였기 때문에 이 문제의 답은 1번 입니다.
병부를 설치하였던 왕은 신라의 법흥왕입니다. 그리고 화랑도를 정비하였던 왕은 신라의 전성기를 이룩한 왕인 진흥왕입니다. 그리고 웅진으로 천도하였던 왕은 개로왕의 아들인 문주왕입니다. 백제는 한강유역을 고구려에게 뺴앗기면서 웅진으로 도읍을 옮기게 되고요 웅진으로 도읍을 옮긴이후에는 시련기를 맞게 됩니다.
'우리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해설 (0) | 2023.12.25 |
---|---|
고려의 토지 (0) | 2022.01.31 |
탈놀이 (0) | 2022.01.18 |
우리나라의 인쇄 기술 (0) | 2022.01.18 |
한국사가 세계에서 손가락질 받고 있는 이유는 (0) | 2019.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