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탈놀이 기원이 언제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자료가 없습니다.
우리 나라 탈놀이 기원은 멀리 부족국가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가 있는데요
고구려의 동맹이나 동예의 무천과 같은 제천행사에서 이미 탈놀이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이 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탈놀이 |
적을 기만하기 위하여 처음 시행 |
동예의 무천과 같은 제천행사에서 이미 탈놀이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이 되기 때문에 탈놀이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시대, 고려시대로 계속이어졌다고 할 수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탈놀이 |
고구려의 동맹이나 동예의 무천과 같은 제천행사에서 처음 시작 |
중국에서의 탈놀이는 적을 기만하기 위하여 처음 시행이 되었습니다.
봉산탈춤 |
조선시대의 탈춤 중에서 가장 예술성이 높은 탈놀이 |
승려의 위선과 허상을 강하게 비난 |
황해도 봉산지역에서 시작된 탈춤 |
1967년 6월 16일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 |
우리나라 조선시대의 탈놀이는 기악에서 시작이 되었다고 하는 데요
기악 기원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양주별산대와 봉산탈춤 각 과장의 내용과 순서가 기악과 닮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조선시대의 탈춤 중에서 가장 예술성이 높은 탈놀이는 봉산탈춤으로 보고 있습니다.
황해도 봉산 지방에 전승되어 오던 가면극인 봉산탈춤은
1967년 6월 16일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봉산탈춤은 황해도 일대 탈춤에 속하며 산대도감 계통의 극입니다
봉산탈춤은 전체가 7마당 5거리로 구성되었으며, 본격적인 탈놀이에 들어가기 전 '길놀이'로부터 시작된다.
악사의 주악을 선두로 사자·말뚝이·취발이·포도부장·소무·
양반·상좌·노장·의 순으로 열을 지어 읍내를 일주하는데, 원숭이가 앞뒤로 뛰어다니며 장난한다.
길놀이가 끝나면 봉산탈춤의 중흥자인 안초목을 위령(慰靈)하는 고사를 지낸다.
해가 지면 무동춤·줄타기·땅재주 등의 곡예와 풍물놀이로 흥을 돋구다가 밤늦게 탈춤놀이가 시작된다.
봉산탈춤의 놀이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1과장 사상좌춤 : 네 명의 상좌가 나와 춤을 춘다.
・ 제2과장 팔목중춤 : 목중들이 나와 재담을 하며 춤을 추고, 놀이를 한다.
・ 제3과장 사당춤 : 사당이 거사들과 어울려 춤을 추고 노래를 한다.
・ 제4과장 노장춤 : 노장이 나와 춤을 추고, 신장수와 원숭이가 등장해 재담을 펼치며, 취발이가 나와 노장의 여자를 빼앗는다.
・ 제5과장 사자춤 : 사자가 나와 춤을 추고 목중들을 무섭게 한다.
・ 제6과장 양반춤 : 말뚝이가 나와 양반들을 곯려준다.
・ 제7과장 미얄춤 : 미얄과 영감 덜머리집이 등장해 춤을 추고 삼각관계의 다툼을 벌인다.
♣조선시대 후기의 탈춤
조선시대 후기의 탈춤은 시대의 허상을 풍자하는 가운데 양반들의 부조리와 위선을 비난하는 내용들이 많습니다,
조선시대의 탈춤 중에서 가장 예술성이 높은 탈놀이인 봉산탈춤에서는 승려의 위선과 허상을 강하게 비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탈놀이는 고대 부족국가의 제천행사에서 시작이 된 이후 조선후기에 와서는 대중적인 예술로 발전을 하게 됩니다.
조선후기의 탈놀이는 시대의 허구성을 비판하는 가운데
자유로운 인간의 감정을 잘 표현하면서 대중속으로 파고 들었습니다.
현재 탈놀이를 전승하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은 경상북도 안동입니다.
●탈춤에 사용되는 탈경상남도 통영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탈놀이
통영오광대의 양반탈은 원래는 바가지탈이었지만 지금은 오동나무로 만듭니다.
통영오광대의 탈 | |
통영오광대의 양반탈 | 원래는 바가지탈이었지만 지금은 오동나무로 만듬 |
통영오광대에 사용이 되는 탈 | 원양반탈과 둘째양반탈, 홍백양반탈, 비틀양반탈, 곰보양반탈, 검정양반탈, 조리중탈 |
통영오광대에 사용이 되는 탈로는 원양반탈과 둘째양반탈이 있습니다.
이ㅗ외에도 통영오광대에서는 , 홍백양반탈, 비틀양반탈, 곰보양반탈,
검정양반탈, 조리중탈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고성오광대의 탈은 처음에 마분지를 풀에 이겨서 만들었습니다.
이후 1960년대에는 나무탈로 바뀌었고요
1980년대에는 청제양반탈, 백제양반탈, 적제양반탈, 종가도령탈을 종이로 만들었습니다.
홍백양반탈은 지금도 계속 종이로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의 토지 (0) | 2022.01.31 |
---|---|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문제 풀이 (0) | 2022.01.30 |
우리나라의 인쇄 기술 (0) | 2022.01.18 |
한국사가 세계에서 손가락질 받고 있는 이유는 (0) | 2019.08.04 |
원나라 간섭기 (0) | 2019.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