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권과 하권으로 되어 있는 제왕운기
제왕운기는 이승휴가 충렬왕 13년에 지은 역사서입니다.
이 책은 상권과 하권으로 되어 있는 데요 상권에서는 중국의 역사를 기록하고
하권에서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기록하였습니다.
제왕운기 | |
이승휴가 충렬왕 13년에 지은 역사서 | |
상권 | 중국 신화시대로부터 원나라시기까지의 역사 |
하권 | 단군 조선시대로부터 고려의 충렬왕대까지의 역사 |
지리에 대한 기록 |
이승휴가 충렬왕 13년에 지은 역사서인 제왕운기의 상권에서는
중국 신화시대로부터 원나라시기까지를 다루었습니다.
제왕운기의 하권에서는 지리에 대한 기록을 비롯하여 및 단군 조선시대로부터
고려의 충렬왕대까지의 역사를 다루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다룬 하권은 칠언고시(七言古詩)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제왕운기의 상권--- 중국 신화시대로부터 원나라시기까지의 역사 기록 |
제왕운기의 하권---- 지리에 대한 기록을 비롯하여 및 단군 조선시대로부터 고려의 충렬왕대까지의 역사 |
이승휴는 이사부와 함께
삼척의 대표적인 역사적 인물이기도 합니다
●제왕운기 상권과 하권의 구성
제왕운기 상권과 하권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하면
상권은 중국의 신화시대인 삼황오제에서부터 금(金), 원(元)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를 적었습니다.
제왕운기의 상권은 7언 264구 1848자로 되어 있습니다.
제왕운기의 하권은 우리 나라의 역사를 고려시대 이전과 고려시대로 나누어,
1부에서는 동국군왕개국연대(東國君王開國年代)라 하였고요
2부인 본조군왕세손연대(本朝君王世孫年代)에서는 고려 태조로부터 충렬왕 당시까지의 역사를 다루었습니다.
제왕운기의 하권 |
1부--- 동국군왕개국연대(東國君王開國年代) |
2부--- 본조군왕세손연대(本朝君王世孫年代) |
●제왕운기를 지은 이승휴
제왕운기를 지은 이승휴는 고려 시대 고종 11년에 태어났습니다.
어릴 적부터 머리가 비상하고 노력을 아끼지 않았던 이승휴는 젊은 나이에 높은 벼슬에 올랐습니다.
이승휴는 왕에게 올인 상소문이 원인이 되어 파직이 되게 되는데요
이와 관련하여 고려사절요 충렬왕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을 하고 있습니다.
감찰사監察司에서 상소를 올렸다.
“나라 형편은 어려운데, 날씨는 가물고 백성은 굶주려 있습니다.
왕께서 사냥하고 연회를 벌일 때가 아닙니다.
전하께서는 어찌 연회와 사냥에 몰두하면서 백성은 돌보지 않으십니까.
또 홀치(忽只, 왕을 지키는 위사)와 응방(鷹坊, 매사냥 관리기관)이 다투어가며
궁중에서 잔치를 벌여 금을 오려서 꽃을 만들고 실을 꼬부려서 봉황을 만드는 등
그 지나친 사치를 말로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왕이 크게 화를 내며 상소를 작성한 주모자를 조사하게 했다.
전중시사(殿中侍史) 이승휴를 파직시켰다.
삼척의 두타산 자락에 있는 천은사에 용인당을 지은 뒤 그곳에서 살았습니다.
이승휴는 두타산 자락에 있는 천은사의 용인당에서 두문불출하며 제왕운기를 짓게 됩니다.
제왕운기는 완성된 후 약 8년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간행이 되게 됩니다.
이승휴(1234—1300)는 삼국유사를 지은 일연보다28년 뒤에 태어났습니다.
이승휴가 쓴 역사서인 제왕운기는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나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와 달리 매우 진취적인 역사서입니다.
이승휴는 그 당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발해의 역사를 다루었는 데요
발해의 역사도 우리 민족의 역사라고 생각을 하였기 때문에 발해사를 포함시켰다고 하겠습니다.
'우리 역사 > 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의 경제 (0) | 2022.01.18 |
---|---|
고려의 국가체제를 튼튼하게 다진 인물 (0) | 2022.01.18 |
고려시대 중국 도자기 (0) | 2021.03.21 |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0) | 2020.12.19 |
고려의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대장경 (0) | 202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