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사대부는 고려말에 성리학 사상으로 무장한 새로운 세력인 신진사대부를 의미합니다
한국에서 사대부는 고려 말, 조선 때의 성리학 즉 주자학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력을 가지고 있는 학자적 관료를 말한다.
고려의 귀족정치 관료층인 사대부는 무신 정권이 타도된 이후 더욱 활발히 정치적인 진출을 하였다.
사대부들은 중앙관부의 이직자(吏職者) 중에서도 나왔지만 그보다도 지방의 향 향리 출신의 이들 사대부는 곧 재향 지주(在鄕地主)이기도 하였다.
지방의 중소 지주인 그들은 학문적인 교양을 바탕으로 하여 과거를 거쳐 중앙의 정치무대로 진출하였다.나서 향리(鄕里)에서의 생활을 즐기기도 하였다. 그들의 사회적 진출은 드디어 고려의 정치적 대세를 변화시켰던 것이"사대부"이다.
무신 정권이 무너지고 원간섭기에 들면서 신진세력은 원나라를 통해 주자학을 도입하구, 보급하는시도할 때 그 을 받기도 했지만, 특히 공민왕의 개혁 때 형성된 개혁세력은 조선건국세력으로 이의 중소지주적 기반을 가 토지를 직접 경영했기 때문에 생산력 향상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주주자학이라성리학의 일부이다.
성리학(性理學)은 원래 '성명의리지학( 신유학(新儒學), 이학(理學), 정주학(程朱學 당나라 말과초기를 거치면서 역사의 전면에 나타난 중국의 사대부들은 이전의 유학이 가지고 있지 않았던 우주론, 존재론,인성론 등의 치밀한서 유학발전사적으로 볼 때 선진(先秦)의 본원(本源) 유학, 한당(漢唐)의 훈고(訓詁) 유학, 송명(宋明)의 성리학이 있다.
즉, 한당유학(漢唐儒學)과 명나라 시대의 유학(儒學) 외에도 대표적 학자와 경 송의 주돈이,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대성하였다. 즉, 정명도 본명)와 정이천 본명) 형제와 주희, 육구연, 왕수인이 이 학 로 이(理) 방식을 취했다. 이 가운데 주로 송대에 일어난 송학, 정주학, 주자학, 이학, 도학이 한 계통이고 주로 명대에 일어난 명학, 육왕학, 양명학, 심학이 또다
'우리 역사 > 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성총관부와 동녕부 (0) | 2018.03.31 |
---|---|
부석사 (0) | 2018.01.17 |
최충--- 해동공자 (0) | 2017.11.03 |
고려의 경제 (0) | 2017.09.23 |
무신정권 시대 (0) | 2017.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