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사

서양 윤리 사상의 특징

by 산골지기 2016. 7. 28.
728x90

서양 윤리 사상의 특징은 두 가지 구분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서양 윤
리 사상은 도덕성의 원천으로 무엇을 중시하는가에 따라 이성을 중시하는 윤리
와 경험을 중시하는 윤리로 나눌 수 있다. 다음으로 행위의 옳고 그름의 근거를
동기나 의지의 옳음에 두는지, 결과의 좋음에 두는지에 따라 각각 의무론적 윤
리와 목적론적 윤리로 나눌 수 있다.


이성을 중시하는 윤리는 인간의 본성이 이성이라고 본다. 이에 따르면 이성적존재로서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해서는 감각적 쾌락이나 이기적 충동을 극복하고 이성의 명령에 따라 윤리적 존재로 살아가야 한다. 이러한 이성 중심의 관점은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그리스 윤리 사상에서 시작하여 헬레니즘 시대의 스토아학파로 이어진다. 그 후 근대 이성주의와 칸트의
윤리 사상으로 계승·발전된다.


경험을 중시하는 윤리는 인간이 감각적 존재로 쾌락과 고통을 느낀다는 경험
적 사실에 주목한다.

이에 따르면 도덕적 선악은 쾌락이나 고통을 불러일으키는
감각적 경험에 달려 있으며, 이를 떠나 그 자체로 선하거나 악한 것은 없다.


 바람직한 삶은 감각적 만족이나 감정적 즐거움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는 삶
이 된다. 이러한 경험 중심의 관점은 고대 그리스의 소피스트에서 출발하여 헬
레니즘 시대의 에피쿠로스학파로 이어진다.

그 후 근대 경험주의를 거쳐 공리주
의로 계승되며, 현대에 들어서는 실용주의로 이어지고 있다.

의무론적 윤리

 동기나 의지의 옳음이 결과의 좋음에 도덕적으로 우선

728x90
반응형

'서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스트리아 제국  (0) 2016.09.06
밀라노 칙령  (0) 2016.08.28
와트 타일러의 난  (0) 2016.07.02
수도원 도서관  (0) 2016.06.20
수도원의 개념  (0) 2016.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