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트 타일러의 난은 학자들에 의해 널리 연구되어 왔다.
19세기 말의 역사학자들은 봉기의 전모를 밝히기 위해
당대 연대기들에서 다양한 문헌을 사용했고,
이는 20세기 들어 궁정기록이나 지역 기록보관소 등을
이용한 연구로 보강되었다
● 와트 타일러의 난 또는 소작농 반란,
대봉기는 1381년에 잉글랜드를 휩쓴 대규모의 민란이다.
민란의 원인은 1340년대 흑사병으로 인해 발생한 경제적 정치적 긴장, 백년전쟁으로 인한 높은 세금, 런던 중앙정부의 지방 통치의 불안정화 등 다양했다.
민란을 직접적으로 촉발시킨 것은
1381년 5월 30일에 왕실 관리인 존 뱀프턴이
에식스에서 미납된 인두세를 걷으려 한 사건이었다.
뱀프턴의 인두세 징수 시도는 폭력적 충돌로 끝났고, 이것은 잉글랜드 동남부 일대에 빠르게 퍼져나갔다. 지역 장인에서부터 동네 구실아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농촌 사회 구성원들이 봉기에 동참하여 재판기록을 불사르고 감옥문을 열어젖혔다.
난민들은 세금의 삭감과 소위 농노제라 알려진 비자유 노동의 철폐, 국왕의 고위 관리들과 법관들의 제거를 요구했다.
급진적 성직자 존 볼의 설교가 난민들을 고무시켰고, 켄트 주에서 봉기한 농민군의 지도자인 와트 타일러가 이끄는 봉기군은 런던으로 진격했다. 농민군과 잉글랜드 왕국 정부 대표들은 블랙히스에서 회동하였다.
정부측은 농민군의 해산과 귀경을 종용하였으나 설득에 실패하였다. 왕국군 병력의 대부분은 해외와 잉글랜드의 북부에 주둔한 상태였고, 당시 나이 14세였던 국왕 리처드 2세는 런던탑으로 피신하였다. 6월 13일, 농민군은 런던에 입성하여 런던 읍민들과 합류했다.
그들은 감옥을 공격하고 사보이 궁전과 템플지구의 법조원을 파괴했으며 법령문서에 불을 지르고 왕국 정부와 관련된 자는 누구든 잡아다 죽였다. 다음날, 리처드는 마일엔드에서 농민군과 만나 농노제의 폐지를 포함한 그들의 요구 대부분을 들어주기로 약속했다.
동시에 농민군은 런던탑에 진입하여 대법관 사이먼 서드버리와 재무경 로버트 헤일스를 찾아내 죽였다.
6월 15일, 리처드는 도시를 나가 스미스필드에서 타일러를 비롯한 농민군과 만났다. 폭력사태가 발발했고, 리처드의 수행원들이 타일러를 죽였다. 리처드는 런던 시장 윌리엄 월워스가 민병대를 조직할 때까지 긴장 상황을 완화시켰고, 그 이후에는 즉시 런던의 질서를 다시 세우고 농민군과 맺은 약속들을 모조리 철회했다.
민란은 이스트앵글리아로도 번져
케임브리지 대학교가 공격당하고 많은 왕국 관리들이 죽임을 당했다.
6월 25일 또는 26일, 노스월셤 전투에서 헨리 디스펜서가 난민들을 격파할 때까지 이 지역의 소요는 계속되었다.
한편 요크, 베벌리, 스카버러 등 북부의 도시와 브리지워터, 서머싯 등 서부의 도시에서도 문제가 발생했다. 리처드는 질서 복원을 위해 약 4천 명의 군인들을 동원했다.
반란 지도자 대부분은 추적 끝에 처형당했다. 그해 11월까지 최소 1,500 명의 반란군이 죽임을 당하였다.
'서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라노 칙령 (0) | 2016.08.28 |
---|---|
서양 윤리 사상의 특징 (0) | 2016.07.28 |
수도원 도서관 (0) | 2016.06.20 |
수도원의 개념 (0) | 2016.06.20 |
사산 왕조 페르시아 (0) | 2016.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