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도시 간 상호 작용의 사례로서 서울과 울산의 관계를 살펴보자.
서울에서는 울산에서 생산된 자동차와 화학제품을
소비하는 반면에 울산에서는 서울에서 발간된 신문을 받아보고,
서울로부터 유행한 최신 옷을 사 입기도 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 과정에서 중심성이 큰 고차 중심지가 중심성이 작은 저차 중심지에게 영향을 미치고 이를 포섭하는 계층 질서가 나타난다.
중심지 체계는 크고 작은 중심지들 사이의 기능적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중심지 간의 계층 질서를 말한다.
중심지들은 정주 공간에서 계층적으로 작은 촌락 단위에서부터 군청 소재지인 읍, 지역 중심지인 중소 도시, 그리고 광역 중심지나 국가의 중심지에 해당하는 대도시 등이 상호 의존하면서 정주 체계를 형성하였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