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쿠쉬나메

by 산골지기 2016. 5. 2.
728x90

신라 헌강왕 시절 동해바다에 태풍이 일더니 해변에 이상하게 생긴 남자가 나타났다. 그는 신라나 왜인(倭人)이 아니었고 키와 눈과 코가 크고 머리는 곱슬머리였으며 알아듣지 못하는 말을 했다. 어부들은 그를 용왕의 아들이라고 생각하여 경주로 호송한다.

왕도 신기하게 여겨 미인을 주어 결혼시켜 동경(東京)에 살게 했다. 경주를 신라 사람들은 왕경 혹은 동경이라 불렀는데 용왕의 아들은 달이 밝은 밤이면 신라 사람들과 밤늦게 잘 어울려 놀았다. 그런데 그가 집에 돌아왔을 때 미인 아내는 다른 남자와 동침하고 있었다.

설화로 기록되는 신라‘처용가’는 이런 내용을 담고 있다. 용왕의 아들은 어느 나라 사람인가. 재미있게도 이 신라 얘기는 이란에 전해지고 있는 1000년 전 서사시 ‘쿠쉬나메(Kush-nameh)’의 설화를 닮고 있다.

 


바실라(신라) 타이후르왕은 바다를 통해 망명한 페르시아 아브틴 왕자를 서울로 데려오고 그의 딸 프라랑 공주와 혼인시켜 살게 했다. ‘바(ba)’는 고대 페르시아어로 ‘더 좋은’의 의미라는 뜻으로 ‘좋은 신라’라고 해석되고 있다.

그동안 경주 왕릉에서는 다양한 유리제품이 출토되었다. 일제 강점기 부터 발굴된 금관총 (金冠塚) 등과 1970년대에 이르러 발굴된 황남대총 (皇南大塚) · 천마총 (天馬塚) 등 고분에서는 순금제품과 더불어 많은 양의 유리제품이 출토되어 세상을 놀라게 했다.

그 중 ‘봉수형’ 유리병은 신라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서역에서 전해 진 것으로 해석된다. 파란색의 이 병은 아름다운 여인의 모습을 연상시키며 포도주용기라고 한다. 한 전문가는 이 유물이 알렉산드리아시의 그레코-로만 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병과 유사하며 실트로드를 타고 신라에 전해졌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물 제635호로 지정된 계림로 출토 ‘장식보검’은 손잡이 부분과 칼집에 새겨진 문양으로 보아 신라에서 유행하던 것이 아니다. 칼집에는 각기 색이 다른 세 개의 보석이 박혀있다.

테헤란대학교 역사학과 모함마드 바헤르 보수기교수는 이 보검이 약 7~8세기경 ‘사산왕조 페르시아에서 건너왔다’고 주장한 적이 있다. 그는 세 개의 보석이 갖는 의미를 당시 조로아스타 교인들이 지켰던 ‘좋은 생각’, ‘좋은 행동’, ‘좋은 말’이라고 해석했다.

경주박물관에 야외에 전시 된 석제 무인상이 들고 있는 막대기는 무구(武具)가 아니고 ‘격구 채’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격구는 바로 페르시아가 원조다. 서사시 ‘쿠쉬나메’에도 페르시아의 왕자 아브틴이 바실라 타이후르 왕과 격구를 즐겼다는 내용이 나온다

728x90
반응형

'지구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 진출  (0) 2016.05.03
이텔멘인  (0) 2016.05.03
펜실베이니아에서 압승한 힐러리  (0) 2016.04.27
화석 연료  (0) 2016.03.15
앙코르 왕국  (0) 2016.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