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세계 속 우리의 위상

by 산골지기 2016. 1. 8.
728x90

 

 

반세기 전만 해도 세계에서 그 위상이 높지 않았던 우리나라는 이제 세계 중심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는2011년 현재1인당 국내 총생산(GDP)31,750달러로, 유럽 연합 국가의 평균31,550달러와 대등해 졌으며, 세계 교역 규모10위권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였다.

 

경제적인 측면과 아울러, 정치적으로도 우리나라가 이룬 민주화의 역정은 세계의 모범 사례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다.

정치경제적 측면 이외에 다른 여러 분야에서도 우리나라의 성장은 눈부시다. 국제 연합(UN)을 비롯한 국제기구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은 여러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높아졌다.

 

 우리나라는‘G20 정상 회의를 비롯하여 크고 작은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등 국제 무대의 중심이 되고 있으며, 세계3대 스포츠 축전인 하계 올림픽, 월드컵,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를 모두 개최 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계 올림픽도 개최하게 되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또한, 세계 분쟁 지역에서 평화 유지 활동을 펼치며 유엔 평화 유지군의 역할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진 만큼 우리의 활동에 대해서도 세계의 시선이 모이고 있다.

 

.

 과거에는 특정한 몇몇 한국인들만 주목을 받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한국인이 세계인의 찬사를 받으며 활동하고 있다. 스포츠 분야,

예술 분야, 과학 분야 등에서 많은 한국인이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 봉사 단체의 일원으로 지구촌 곳곳에서 봉사 활동을 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한국의 경제 개발5 개년 계획이 개발 도상국과 후진국의발전교과서’로 부활하고 있다. 정부의 지식 원조 사업인경제 개발 경험 공유 사업(KSP:)’의 구체적인 성과가 하나 둘씩 나타난 것이다.

 

최빈국에서 탈출해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려는 한국의 발전 경험이

 

개발 도상국에는고기 잡는 법’을 가르치는

 

 귀중한 학습서가 된 것이다.

 

우리의 경제 발전 비법을 개발 도상국에 전수하는 경제 개발 경험 공유 사업의 최근 성과 중 눈에 띄는 것은 바로 베트남이 수립한 중장기 경제 사회 발전 전략이다.

 

 

국내에서의 활동에 국한하지 않고

 

 세계를 무대로 자신의 능력과 재능을 펼치며 성장한

 

 한국인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제기구의 수장을 맡아 그 역량을 발휘하는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예술 분야를 개척한 백남준, 세계 보건 기구(WHO)의 사무총장으로 질병 퇴치에 헌신한 이종욱 박사, 아프리카에서 교육과 의료 봉사에 헌신한 이태석 신부 등을 들 수 있다

 

 

 

 

 

728x90
반응형

'지구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생 논란'  (0) 2016.02.07
세계 탐구  (0) 2016.01.08
2014년 자동차 랠리팀 리뷰  (0) 2015.12.31
람샤르와 습지  (0) 2015.11.05
추운 지역 기후  (0) 2015.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