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데이/경제

해외유전개발 융자금

by 산골지기 2015. 10. 12.
728x90

사실 해외유전개발 융자금은 눈먼 돈일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이유가 있다. 지난해 11월 시사IN 9호 기사에 구조적인 이유를 지적한 것을 인용해보자.

"유전개발 사업은 성공 확률이 10~15%로 매우 낮아 위험도가 높다.

 

정부는 업체가 유전 탐사에 실패했을

경우 최대 80%까지 비용을 부담하는 ‘성공 불융자’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

 탐사에 성공해 갚은 원금의 비중은 전체 대출금액(1조1000억원)의 9.7%에 지나지 않는다.

 

 대출금은 지난 2006년 8월 말 현재 한국석유공사(6057억원), SK(1245억원), 대우인터내셔널(1110억원), LG상사(279억원) 등 국내 대표 에너지 대기업을 중심으로 30여 개 업체가 받아갔다."

이런 가운데 우리가 생각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점은 바로 이런게 아닐까 싶다.


"2007년 해외 유전 개발 지원 예산은

7126억원으로 지난해(3833억원)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었지만,

 대체 에너지 지원 예산은 4350억원으로 겨우 6.2% 증가한 데 그쳤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시중 자금까지 개발 사업에

끌어들이고자 2000억원 규모의 유전 개발 펀드 1호를 출시한 바 있다.

 

내년에도 개발 업체에 대한 세제 지원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