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옥한 초승달과 나일강의 선물
메소포타미아 문명
(1) 위치: 티그리스 강, 유프라테스 강 사이
(2) 개방적 지형: 이민족의 잦은 침입
(3) 종교: 내세보다 현세 중시, 다신교, 지구라트 건립
(4) 문자: 쐐기 문자 , 점토판에 기록
(5) 과학: 태음력, 60진법, 점성술
(6) 바빌로니아 왕국: 아무르 인이 건국, 함무라비 왕
이집트 문명
(1) 위치: 나일 강 유역 (주기적 범람)
(2) 폐쇄적 지형: 통일 국가 유지
(3) 정치: 왕인 ‘파라오’가 절대 권력 행사
(4) 종교: 다신교, 영혼 불멸(미라, ‘사자의 서’, 피라미드)
(5) 문자: 상형 문자 , 파피루스에 기록
(6) 과학: 천문학, 태양력, 수학, 측량법, 10진법
지중해 동부 연안의 여러 민족과 국가
(1) 히타이트: 철제 무기, 전차 사용
(2) 페니키아 인
① 해상 민족: 지중해 일대에 도시 국가 건설(카르타고)
② 표음 문자 사용: 알파벳의 기원
(3) 헤브라이 인
① 정착: 기원전 1500년경 가나안 지역에 정착
② 유일신 신앙: 유대교 → 크리스트교와 이슬람교에 영향
인도와 중국에서 탄생한 문명
1. 인더스 문명
(1) 하라파, 모헨조다로 : 성곽과 망루, 포장 도로, 배수 시설,
공중목욕탕, 집회소, 곡물 창고 등
(2) 가옥 구조: 벽돌집, 우물
(3) 생활: 청동기, 채색 토기, 밀과 보리 재배, 가축 사육
(4) 문자: 상형 문자
2. 아리아 인의 이동과 카스트제
(1) 아리아 인의 이동
① 진출: 중앙아시아 → 인더스 강과 갠지스 강 유역
② 경제: 철기 사용, 농경 발달
③ 사회: 가부장 중심 사회, 카스트제
④ 종교: 브라만교
(2) 카스트제
① 구조: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
② 브라만교 성립 : 브라만의 특권적 지위 유지
중국 문명의 형성
(1) 신석기 시대 초기: 채색 토기 문화(양사오 문화)
(2) 신석기 시대 후기: 흑도 문화(룽산 문화)
(3) 신석기 시대 말기: 초기 국가 등장
4. 상 왕조의 출현
(1) 중국 최초의 왕조: 은허의 발굴로 실체 확인
(2) 형성: 도시 국가 연맹에서 출발
(3) 정치: 신권 정치(한자의 원형인 갑골문 사용)
(4) 풍습: 태음력 사용, 순장
5. 주 왕조의 봉건제
(1) 정치: 봉건제 실시
(2) 사회: 종법과 예법 확립
(3) 통치 사상: 천명사상, 덕치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