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관파천에서 아관은 러시아 공사관을 의미하고요 파천은 옮긴다는 의미입니다. 쉽고 좋은 우리말을 놓아두고 이렇게 불편하고 어려운 한자어를 사용하는것이 때로는 불만스러울때가 많이 있습니다
1895년 을미사변으로 조선 국민의 대일 감정이 극도로 악화하고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 전국이 소란해지자 러시아 공사 베베르는 공사관 보호라는 명목으로 수병(水兵) 백명을 서울로 데려왔다.
이에 친러파인 이범진 등은 베베르와 공모하여 건양 1년(1896년) 2월 11일에 국왕의 거처를 궁궐로부터 정동(貞洞)에 있는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겼다.
고종은 옮긴 당일 내각총리대신 김홍집을 비롯하여, 김윤식, 유길준, 어윤중, 조희연, 장박, 정병하, 김종한, 허진, 이범래, 이진호를 면직하고, 유길준 등을 체포하도록 명하였다. 이어 김병시를 내각총리대신에 명하는 등 내각 인사를 새로 하였다. 이날 김홍집과 정병하가 백성들에게 살해되었다.
어윤중 또한 살해되었고,
유길준·조희연 등은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그리고, 이범진·이완용 등의 친러 내각이 조직되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은 1896년 5월 니콜라이 2세의 황제 대관식 이후에 일본 제국과 가까워지며, 로바노프-야마가타 협정(Yamagata–Lobanov Agreement)을 맺는다.
또한 러시아 제국은 경원과 경성의 채굴권과 압록강, 두만강 및 울릉도의 채벌권과 같은 각종 이권을 요구하였다.
이에 1897년 2월 18일, 궁으로 돌아갈 것을 명한 고종은 이틀 뒤인 2월 20일에 덕수궁으로 환궁하였다. 이때, 고종이 다른 나라의 공관에 피신하여 다른 나라 군대의 보호를 받고 있으니, 조선의 자주권이 심하게 훼손된다. 그리고 그 이후 러시아의 간섭이 심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