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의병들은 주로 일본 강점기 이전에 활약을 하게 되는데여 한일합방이 되면서 의병들의 활동도 막을 내렸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일제는 한일합방 1년전인 1909년에 남한대토벌이라고 해서 호남의병에 대한 대대적인 토벌을 하게됩니다.
이 과정에서 마지막 의병들이 소탕되었다고 할수가 있는데요 항일합방후까지 활약한 의병장으로는 채응언이 있습니다.
호남의병은 구국을 위한 마지막 투혼을 펼쳤는데요
이러한 호남의병의 구국의지에 대해서
저평가 하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곤 합니다.
채응언은 1907년 의병대에 들어가 항일 항쟁에 뛰어들었는데요 황해도 출신인 이진룡의 의병대나 경기도 북부 지역을 기반으로 한 김진묵 의병대, 또는 서태순, 전병무의 의병대 등에 합류하여 처음 의병 운동을 개시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후 황해도를 중심으로
강원도, 함경남도, 평안남도 등에서
항일 유격전을 펼쳤습니다.
수하에는 수십명에서 수백명 가량의 의병들을 이끌었으며, 주로 일본군 헌병부대와 경찰서 등을 습격하여 군경을 살해하는 활동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