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고려140

고려의 인종 고려의 인종은 성품이 어질고 효성스러우며 너그럽고 자비로웠는데요 학문을 좋아하였던 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승과 벗에 대한 예가 밝았던 인종은 예종 10년에 태자로 책봉이 되었고요 자신의 외할아버지인 이자겸 등에 의해 15세로 왕위에 올랐습니다. 고려의 인종 성품이 어질고 효성이 강함 학문을 좋아하였던 왕 예종 10년에 태자로 책봉 이자겸 등에 의해 15세로 왕위에 오름 고려의 인종은 예종에 이어 즉위하였는 데요 즉위초에 일어난 대표적인 반란으로 외척인 이자겸이 일으킨 이자겸의 난이 있습니다. 이자겸의 난을 진압한 인종은 척준경 세력을 숙청하고 왕권을 확립하게 됩니다. 인종은 이자겸의 난을 진압한 후에 일어난 또하나의 귀족반란인 묘청의 난도 진압을 하였습니다 .묘청의 난 당시 서경파 세력들은 서경에 대.. 2023. 12. 15.
고려의 지방제도와 교육제도 고려시대의 교육제도는 유교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가운데 중앙집권화 과정에서 확립되었습니다. 고려의 교육제도는 과거제도와 연계하여 발달을 하였습니다. 고려의 교육기관은 과거제도의 준비기관이라고 할수도 있습니다. 불교의 발달이 전개가 되면서 불교 사원도 중요한 교육 기관으로 기능을 하였습니다. ● 고려의 관학과 사학 고려의 교육제도 관학과 사학이 동시에 존재하였는데요 개경에는 유명한 사학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개경에 있는 유명한 사학들 중에서 대표적인 사학은 최충이 세운 사학인 홍문공도입니다. 고려의 국립교육인 국자감은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는데요 입학자격이 계급별로 달랐으므로 귀족위주의 계급교육이었습니다. 고려의 교육시설은 예종 시기와 충렬왕 때에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고려말에는 원나라로부터 주자학이 도입.. 2023. 12. 13.
고려시대의 문학 동국이상국집 프린트 오류신고 고려 문신 이규보(李奎報)의 문집이다. 1241년(고종 28) 이규보의 아들 이함(李涵)이 전집(前集)과 후집(後集)을 간행하였고, 1251년(고종 38) 손자 이익배(李益培)가 증보판을 간행하였다. 총 53권 13책이다. 전집에는 시(詩), 부(賦), 기(記), 서(書), 교서(敎書), 조서(詔書), 비명(碑銘), 묘지(墓誌), 뇌문(誄文), 제축(祭祝) 등이 실려 있고, 후집에는 시, 서, 표, 잡저(雜著) 등이 실려 있다. 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조선 영조 대의 복각본으로 추정된다 2023. 11. 25.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불상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불상 에는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 있고요 원나라 간섭기에는 바위를 활용한 대형불상인 파주 용미리 입상과 안동 이천동 불상등이 만들어졌습니다. 고려시대에 지어진 목조건물에는 안동 봉정사 극락전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이 있습니다. 원나라 간섭기의 대형 불상 파주 용미리 입상 안동 이천동 불상 고려시대에 지어진 목조건물 안동 봉정사 극락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엔타시스 양식을 취하고 있고요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입니다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가 되어 있습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불상인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때 만들기 시작하여 고려 목종 때 완성이 되었습니다. 관촉사 석조미륵.. 2023.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