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신앙 매거진260

다니엘 다니엘은 구약성경의 다니엘서에 등장하는 유대인이다. 기원전 6세기에 예루살렘을 함락시킨 바빌론의 느부갓네살 왕은 자신의 행정 관리를 야성하기 위해 유대인의 왕족과 귀족 가운데 용모가 아름답고 지혜와 지식이 풍부한 소년들을 골라 칼데아어를 배우게 하였다. 벨테샤트르(Belteshazzar)로 불리는 다니엘은 샤드락(Shadrach), 메삭(Meshach), 아벳느고(Abednego)와 함께, 이방인의 신을 믿지 않고, 이방인의 고기와 술로 자신을 더럽히지 않겠다고 맹세하였다. 다니엘은 누구보다 우수했기에 왕의 시중을 들게 되었다. 다니엘은 느부갓네살 왕이 본 꿈의 수수께끼를 밝혀낸 것으로 바빌론 전주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또, 느부갓네살의 아이 벨샤트르가 연회 중에 벽에 글자를 쓰는 손가락의 환상을 보았을.. 2017. 7. 24.
근대교회 배경 근대교회 배경 제1장 종교개혁 후 유럽의 변혁 1.아우구스부르그 종교회의 2. 불란서 개혁교회와 낭뜨칙령 3. 화란 독립운동과 칼빈주의 4. 30년 전쟁과 웨스트팔리아 평화조약 제2장 청교도 운동 1. 엘리자베드 여왕과 통일령 2. 의회와 찰스 1세의 충돌 3. 크롬웰 시대의 청교도 운동 4. 찰스 2세의 왕정 복고와 청교도 운동 5. 청교도의 영향과 평가 1. 근대교회사 해석문제 근대의 인간 중심의 사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자연과학의 발달로 인한 세계관의 변화이다. 종말론은 에드워드를 통하여 프린스톤 신학교에 정착된 후, 프린스톤 개혁주의자들은 이 후천년설을 자신들 의 종말론으로 정립하게 되었다. “자율의 시대,” “이서의 시대,” “개인주의” 그리고 “세속화 시대”가 근대의 특징이지만 이것은.. 2017. 7. 12.
성령 성령(聖靈)은 기독교의 성삼위 또는 삼위일체 교리에서 하느님을 이루는 세 위격(페르소나) 중 하나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나 성령이 가지는 성격에 대해서 삼위일체로서의 위격이 아니라 하나님이 사용하는 강력한 영 즉 활동력이라고 주장도 있다. 과거에는 성신(聖神)이라고도 했으며, 개신교의 전래 초기에는 숨님으로 번역하기도 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성령이 사도들에게 임하여 본격적인 기독교가 시작되었다. 그래서 교회력에서는 성령이 강림하여 교회가 시작된 날을 성령강림주일로 기념한다.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고백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서는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을 믿는다. 성령은 예언자들을 통해 말씀하셨고,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같은 경배와 영광을 받으신다’고 고백한다. 동방 정.. 2017. 7. 6.
야곱 야곱은 창세기의 야곱 부족 설화에 나오는 인물인데 아브라함의 손자이자, 이삭의 작은 아들로서 기록되고 있습니다. 히브리인들은 자신들의 자녀를 낳을때 그 당시 상황이나 의미를 담아 이름을 지었습니다 아브람과 사라에게서 이삭이 태어나고 아브람과 하갈 사이에서 이스마엘이 태어납니다. 이삭은 에서와 야곱의 쌍둥이 아들을 낳습니다 2017. 5.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