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양사/고대43 선사시대 구석기시대에는 뗀석기를 사용하였고요 동굴이나 막집에 거주를 하면서 수렵이나 채집생활을 주로 하였습니다 신석기 시대에는 정착생활을 하면서 농업을 시작하였는데요 이러한 변화를 신석기 혁명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벼농사는 아직 짓지 않았고요 조,피,수수 등을 주로 재배하였습니다. 빗살무늬토기라는 토기를 만들어 사용을 했습니다. 신석기 시대(新石器時代, The Neolithic Age)는 석기 시대 후기로,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와 질그릇(토기)을 도구로 사용하여 식량 생산 단계에 이른 시대를 말한다. 인류사회는 구석기시대의 채집 경제로부터 신석기 시대의 생산경제로 발전하는데 이러한 생산 경제로의 전환은 인류 문화사상 하나의 전기를 가져온 사건이다. 때문에 이러한 전환을 신석기 혁명이라고도 한다.. 2018. 9. 11. 수메르 문명 인류최초의 문명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인데요 수메르인이 건설한 문명이기 때문에 수메르문명이라고 봐도 되겠습니다 수메르(Sumer)는 메소포타미아의 가장 남쪽 지방으로 오늘날 이라크의 남부 지역이다. 수메르 문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수메르인은 대략 기원전 5,500년에서 기원전 4,000년 사이부터 수메르 지방에서 살기 시작하였다. 수메르 문명이 가장 융성했던 때는 기원전 제3천년기로, 역사학자들은 통상적으로 이 1000년의 기간을 크게 초기 왕조 시대(2900?~2350? BC), 아카드 왕조 시대(2350?~2150? BC), 우르 제3왕조 시대(2150?~2000? BC)의 세 시대로 구분한다. 그 후 기원전 2000년 쯤에 유프라테스 강의 서쪽 즉 .. 2018. 5. 27. 예루살렘 이스라엘수도는 예루살렘 입니다 예루살렘은 사해의 북쪽으로 약 28km 떨어져 유대아 산맥의 언저리의 해발 780m에 위치하며, 지형적으로 동쪽으로는 키드론 골짜기와 남쪽으로는 힌놈 골짜기의 가운데 솟은 구릉에 기원전 약 3000년 이래로 사람들이 부락을 이루어 살은 것으로 추측된다. 산악 지형이 가진 장점을 살려 예루살렘은 외부 침입을 쉽게 막을 수 있는 성채를 중심으로 서서히 도시의 윤곽이 잡혔다. 오늘날과 같은 도시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한 것은 역사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기원전 약 1000년 경에 이스라엘의 선조 다윗 왕이 구릉에 위치한 '시온의 성'이라 불리던 도시를 정복한 후 유대인들은 이 곳을 '다윗의 성'이라 불렀다고 한다 (사무엘 하 5,7: 역대기 상11, 4-7: 열왕기 상 8,.. 2017. 12. 7. 신바빌로니아 티그리스 강의 하류지역에 살던 아람인들은 비교적 오랫동안 독립을 유지했다. 칼데아 제국 = 신바빌로니아 칼데아인, 아람인, 바빌로니아인들이 공존 기원전 626년 칼데아의 장군 나보폴라사르가 스스로를 바빌론의 왕으로 칭하고 메디아와 스키타이와 연합하여 아시리아를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신바빌로니아, 곧 칼데아 제국 시기에는 칼데아인, 아람인, 바빌로니아인들을 구분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2017. 12. 7.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