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상금 2억원, 대한민국 대표강사 공개선발
deg.kr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은
궁중에서 각종 의례에 쓰였던 아악과 당악, 속악 등을 포함한 정악과 민속음악으로 나뒤어 집니다.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
정악과 민속음악으로 구분

http://dbdbdeep.com/ma/link.php?lncd=S00277758TC05835530B
유가에서는 음악을 인간의 도덕적 교화 수단으로 삼았는데요 유교를 국가경영의 원리로 삼았던 조선왕조는 왕실이 앞장서서 궁중음악을 장려했습니다.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은 아악을 집대성한 왕이기도 합니다.
http://dbdbdeep.com/ma/link.php?lncd=S00277758TC05835530B
dbdbdeep.com

고려때 송나라에서 들여온 아악은 주로 왕실의 의례와 공자를 모시는 성균관의 제례에서 연주되었습니다.
아악
고려때 송나라에서 도입
왕실의 의례와 성균관의 제례에서 연주
아악은 중국에서는 자취를 찾아볼 수 없이 사라졌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잘 남아 있습니다.
아악보다 먼저 들어 온 당악은 주로 궁중의 조회와 연회에 쓰였습니다.

향악(鄕樂)은 당악이 들어오기 이전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내려오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을 말하는데요 당악곡은 6음계로 되어 있고, 향악곡은 5음계로 되어 있습니다.
향악곡으로 오래된 음악은 정읍과 동동, 종묘제향악의 향악계 음악등이 있습니다.

민속음악은 민중의 기층사회에서 형성되고 애호된 음악인데요 사회에서 애호되던 정악에 대칭이 되는 전통음악입니다.
민요는 본래 민중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불려온 것으로 각 지방마다 특색이 있습니다.우리나라의 민요는 경기민요·서도민요·남도민요로 구분이 됩니다.

잡가는 소리꾼들이 부르던 긴 노래인데요 경기도와 서도에서는 방안에 앉아 부른다고 하여 좌창이라고도 합니다.
판소리는 소리꾼 한 명과 고수 한 명이 이야기를 음악으로 구연하는 장르인데요
표현력이 풍부한 창과 아니리, 사설과 너름새 등으로 엮어집니다.
서민들 사이에 구전으로 전해오던 판소리는 19세기 말께 문학적으로 내용이 더욱 풍부해져서 도시의 지식인들 사이에서도 높은 인기를 누렸습니다.‘
판소리는 200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는데요
판소리를 하기 전에 짧게 부르는 단가는 서정적인 노래입니다.

'투데이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해평가사 기출문제 (0) | 2025.03.13 |
---|---|
손해평가사 기출문제 풀이 (0) | 2025.03.13 |
디지털 노마드 (0) | 2025.02.22 |
손해평가사---과실손해보장 (0) | 2025.02.21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