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년착과량과 평년수확량, 경과비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년착과량
금년도 평년착과량 =
과거5년간 적과후 착과량 *
[과거5년간 표준수확량-과거5년간 적과후 착과량] *
[1- 가입연수 /5]*
금년도기준표준수확량*
금년도기준표준수혹량/과거5년도 기준표준수확량
●금년 평년수확량
과거5년간 평균수확량 +[과거5년간 표준수확량-과거5년간 평균수확량]*
미가입횟수*
[금년표준수확량/과거5년간 표준수확량]
-----------------------------------------------------------------------------------------------------------
경과비율
경과비율은 수확기이전 경과비율과 수확기중 경과비율로 구분이 되게 됩니다.
수확기이전 경과비율 =
준비기생산비계수 + (1−준비기생산비계수)×
생장일수/표준생장일수
수확기중 경과비율 = 1−수확일수/표준수확일수
경과비율--- 수확기이전 경과비율과 수확기중 경과비율로 구분
---------------------------------------------------------------------------------------------------------
정부의 농가부담보험료 지원 비율
정부보조보험료는 순보험료의 50%와 부가보험료의 100%를 지원한다. (과수 4종의 국고지원은 순보험료의 35% ~ 60%이며, 가입조건별 차등지원)
지자체 지원보험료는 지자체별로 지원금액(비율)을 결정한다.
---------------------------------------------------------------------------------------------
나무손해피해 보험금
보험금* [피해율-자기부담 비율]
피해율 ---- 고사한 나무수/가입한 나무수
미보상비율(감수량)
미보상감수량 정의 :
보상하는 재해 이외의 원인으로 수확량이
감소되었다고 평가되는 부분으로 계약당시 이미 발생한 피해, 병충해
피해 및 제초불량 등으로 인한 수확감소량으로서 피해율 산정시 감수량에서 제외한다
지급보험금 = 보험가입금액 x
(피해율 - 자기부담비율)
▶피해율이 자기부담비율 초과시
보험금 지급
▶자기부담비율 = 계약시 계약자가
선택한 비율(10, 15, 20, 30, 40%)
'투데이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해평가사 공부---생산비보장 (0) | 2025.02.08 |
---|---|
손해평가사---과수의 손해 (0) | 2025.02.08 |
당사주 (0) | 2025.01.31 |
타로카드 (0) | 2025.01.30 |
타로심리상담사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