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교육제도는 유교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가운데 중앙집권화 과정에서 확립되었습니다.
고려의 교육제도는 과거제도와 연계하여 발달을 하였습니다. 고려의 교육기관은 과거제도의 준비기관이라고 할수도 있습니다.
불교의 발달이 전개가 되면서 불교 사원도 중요한 교육 기관으로 기능을 하였습니다.
● 고려의 관학과 사학
고려의 교육제도 관학과 사학이 동시에 존재하였는데요 개경에는 유명한 사학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개경에 있는 유명한 사학들 중에서 대표적인 사학은 최충이 세운 사학인 홍문공도입니다.
고려의 국립교육인 국자감은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는데요 입학자격이 계급별로 달랐으므로 귀족위주의 계급교육이었습니다. 고려의 교육시설은 예종 시기와 충렬왕 때에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고려말에는 원나라로부터 주자학이 도입됨에 따라서 유교교육이 본격화되게 됩니다.
고려말의 교육제도는 관리양성소의 기능과 학문 연구소로서의 기능을 겸하였습니다.
고려말에는 국자감이 성균관으로 바뀌는데요 고려말의 성균관은 조선의 성균관으로 발전되게 됩니다.
고려말의 교육제도 |
관리양성소의 기능 |
학문 연구소로서의 기능 |
고려의 대표적인 관학인 국자감은 고려의 최고학부였습니다.
국자감에서는 유교교육과 함께 기술할 교육도 하였습니다.
유교사회에서 학교는 교화의 근원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고려시대에는 학교의 설립에 많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고려의 지방제도
고려시대에 제도를 정비한 왕인 성종은 전국에 12목이라는 도시를 두었습니다.
고려의 지방제도를 확립한 현종은 전국에 4도호부 8목을 두었습니다.
성종시기의 12목이 현종때에는 8복으로 개편되었습니다.
현종시기에 지방 행정은 5개의 도인 5도와 두 개의 계인 양 계로 크게 나누었습니다.
북계와 동계의 양 계는 북방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군사적인 행정 구역으로 설치된 것인데요
병마사가 그 장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
경상도와 전라도를 비롯한 5개의 도에는 안찰사가 파견되었습니다.
각 도에는 주, 군, 현을 두었는데요 주와 군에는 지사, 현에는 현령을 두어 다스리게 하였습니다.
가장 하위에 있는 행정단위인 현 밑에는 촌이 있었고요 촌에는 촌장이 있었습니다.
현종시기의 4도호부는 이후 5도호부로 개편이 되게 됩니다.
거란의 2차 침입이 끝난 뒤, 현종은 지방 세력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대적인 행정개편을 했습니다.
현종시기에는 도단련사와 단련사가 폐지되었고요
4도호부와 8목을 설치했습니다.
현종시기에는 고려의 지방관제가 현령관 체제로 바뀌었습니다.
현종의 지방 행정개편 |
지방 세력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대적인 행정개편 |
도단련사와 단련사 폐지 |
4도호부와 8목을 설치 |
고려는 중앙에서 지방관이 파견되지만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현이 더 많았습니다.
지방관이 파견된 현을 주현(主縣)으로 하고 지방관이 파견되자 않은 현을 속현으로 하였습니다.
주현과 속현 | |
주현 | 지방관이 파견된 현 |
속현 | 지방관이 파견되자 않은 현 |
각 지방의 실제 행정은 향리가 담당하였는데여
지방의 실무 행정을 담당한 향리는 일반 평민과 천민 집단의 조세,
공물의 징수와 요역 징발의 사무를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