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갯벌은 수산자원의 보고 입니다. 갯벌에는 김이나 백합, 바지락 등이 많이 생산되는데요 어민들에게는 중요한 소득원이 되기도 합니다.
갯벌은 수많은 생물들이 살아가는 서식처일 뿐만 아니라 연안 해역을 깨끗하게 지켜주는 바다의 오물처리장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때문에 갯벌을 정화조나 콩팥으로 많이 비유를 합니다.
육지와 인접한 바다에서 형성되는 갯벌은 철새들이 도래하고 생활하는 장소인데요 철새들이 가장 중요한 서식처로 삼는 곳이 갯벌 입니다.
갯벌은 육지와 바다를 이어주는 완충지대로써
각종 어패류의 서식지와 산란장을 제공하고 전체 어획량의 60%이상을 생산하는 곳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모래갯벌에는 바지락, 동죽, 서해비단고둥, 갯고둥등의 생물체가 서식을 하고 있습니다.
모래 갯벌의 서식 생물 |
바지락, 동죽, 서해비단고둥, 갯고둥등 |
2022.02.05 - [우리 국토 방랑기] - 추가령곡에서 발원하는 한탄강
추가령곡에서 발원하는 한탄강
한탄강 은 강원도 평강의 추가령곡에서 발원하는 강입니다. 한탄강은 철원과 연천을 거쳐 전곡에서 임진강과 합류하게 됩니다. 민족 분단으로 인한 한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요 한탄은 한자
namjindu.tistory.com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서해안 개발'이라는 명분 아래 갯벌을 매립하여 공장을 짓고 도시를 건설하였습니.
그로 인해 갯벌 생물들의 서식처가 파괴되고 오염되어 한반도 주변 연안 생태계 중에서 인위적 간섭을 가장 많이 받는 곳이 되게 됩니다.
도시의 하수구로 전락한 하천으로부터 생활 하수나 공장 폐수 등이 유입되어 주변 생물들이 대량으로 폐사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바닷물이 드나드는곳인 조간대 갯벌에서 생활하는 생물들은 생각보다 매우 다양합니다.
갯벌은 겉으로는 색다른 것이 없어 보이지만 개펄 위나 그 속에 각종 생물들이 나름대로의 생존 전략을 가지고 엄청난 밀도의 생물체를 부양하고 있다.
갯벌에서는 그 환경을 결정짓는 퇴적물의 성질, 특히 모래나 개펄을 구성하는 알갱이의 크기가 다르면 거기에 정착하는 생물의 종류도 달라진다.
◆갯벌의 종류
갯벌의 종류 |
모래갯벌 |
펄갯벌 |
혼성갯벌 |
하구역갯벌 |
모래갯벌 (sand flat)
모래갯벌은 바닥이 주로 모래질로 형성되어 있어 조개를 잡으며 즐기기 좋은 곳인데요
모래갯벌에서도 해안 가까운 갯골이나 조수로에서는 펄이 있는 곳도 있습니다.
주변 염습지 식생의 갈대밭과 같은 곳에 서도 부분적으로 펄이 나타나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기물 함량이 거의 10퍼센트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고 이질 함량도 70퍼센트를 넘습니다.
주요 생물 - 모래갯벌에는 바지락, 동죽, 서해비단고둥, 갯고둥 등
펄갯벌 (mud flat)
펄갯벌은 모래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10퍼센트 이하에 불과하나
반대로 펄 함량은 90퍼센트 이상에 달하는 갯벌인데요
개펄의 깊이가 깊은 곳은 수미터나 되고 함수량도 높아 걸을 때
보통 허벅지 까지 빠지기 때문에 갯벌 조사가 매우 힘듭니다.
주요 생물 - 펄갯벌에서는 모래갯벌에 비해 퇴적물식을 하는 갯지렁이류와 게 종류
혼성갯벌과 하구역갯벌
혼성갯벌은 모래펄갯벌이라고도 하는데 모래와 펄이 각각90퍼센트 미만으로 섞여 있는 퇴적물로 구성된 갯벌입니다.
혼성갯벌의 주요 생물로는 상부에서는 칠게가, 중부에서는 동죽이나 맛조개가, 하부에서는 가시닻해삼이 많습니다.
하구역 갯벌은 지형적인 특성에 따라 구별되는 갯벌로 우리나라에서는 유입 하천이 있는 곳이면 불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동해안의 강원도쪽에 많이 있는 석호
우리나라 동해안에는 장소에 따라서 해안선에 평행으로 뻗은 감조성의 석호가 존재하는데요
이곳에는 하구역의 갯벌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일종의 석호갯벌이라고 할수가 있습니다.
갯벌은 주로 우리나라의 서해안쪽에 있으며, 밟으면 진흙탕처럼 들어가는 곳입니다.
석호는 우리나라 동해안의 강원도쪽에 많이 있으며, 예전에는 바다였지만,
지금은 호수처럼 땅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바다와 분리된 호수 지역입니다.
강원도에 있는 석호에는 강릉의 경포호, 속초의 영랑호, 화진포등이 있습니다.
'사회교실 >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권보전지역 (0) | 2022.02.15 |
---|---|
화진포 (0) | 2022.02.13 |
우리나라의 세계 자연유산 (0) | 2022.02.09 |
동남아시아 (0) | 2021.12.08 |
최치원 관련 유적지 (0) | 2021.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