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교실/지리

우리나라의 세계 자연유산

by 산골지기 2022. 2. 9.
728x90

우리나라의 세계 자연유산에는  4개 갯벌과  2007년 등재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있습니다.

2021년 7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갯벌로는

서천갯벌(충남 서천) 고창갯벌(전북 고창) 신안갯벌(전남 신안) 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등이 있습니다. 

5개 지자체에 걸쳐 있는 4개 갯벌은  2007년 등재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이어

14년 만에 두 번째로 등재된 세계자연유산입니다

2022.02.06 - [우리 국토 방랑기] - 제천 의림지

 

제천 의림지

 충청북도 제천에 있는 ‘제천 의림지’는 삼한 시대 축조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입니다. 삼한 시대 축조된 오래된 저수지로는 의림지 외에 김제의 벽골제와 상주의 공검지, 밀양의 수

namjindu.tistory.com

서천갯벌은 금강 하구에 인접해 있는데요 

이 지역은 우리나라 3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겨울이 되면, 많은 철새들이 찾는 곳입니다.

국토해양부는 2008년 1월 29일에 충청남도 서천군 일원의 갯벌 16.5㎢를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했고 

2009년 12월 2일에는 우리나라에서 13번째로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었습니다.

등록면적은 15.3㎢인데요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은 검은머리물떼새로 유명한 유부도 인근 갯벌(3㎢)과

갯벌체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선도리·장포리 등지의 갯벌(13.5㎢)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천갯벌은 새만금 갯벌이 사라진 후 금강하구에 남아있는 유일한 하구갯벌입니다.

서천갯벌
우리나라 3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
등록면적은 15.3㎢
유부도 인근 갯벌(3㎢)과  선도리·장포리 등지의 갯벌(13.5㎢)로 구성

 

썰물 때 금강하구둑의 배수갑문을 열면 강물이 바다로 유입되며

바닷물과 섞이는 기수역이 형성되는데요  서천갯벌은 이 같은 기수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금강호의 물을 농업용수로 이용하고 있어

장마철이나 홍수 시에 피해예방차원에서 배수갑문을 개방하고 습니다. 따라서 밀물과 썰물 때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경우가 없습니다

갈대ㆍ천일사초ㆍ해홍나물ㆍ칠면초ㆍ갯잔디ㆍ갯쇠보리 등

다양한 염생식물과 사구식물 44종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황조롱이ㆍ노랑부리저어새, 마도요ㆍ흑부리오리 등 멸종위기종과  희귀 조류의 서식처 입니다.

 

◆ 고창군과 부안군 사이에 있는 곰소만[줄포만]에 위치한 고창갯벌

고창갯벌은 고창군과 부안군 사이에 있는 곰소만[줄포만]에 위치한 반폐쇄적인 내만형 갯벌로서 인근에 있던 새만금 갯벌이 사라짐에 따라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지고 있다.
고창갯벌
고창군과 부안군 사이에 있는 곰소만에 위치
갈대·칠면초·나문재 등 염생 식물 22종이 서식
 
 
고창갯벌 중 고창군 부안면·심원면 일원에 있는
10.4㎢는 2007년 12월 31일 ‘고창갯벌 습지 보호 지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고창갯벌은 만조선에서 간조선 방향으로 약 0.4~6㎞의 폭을 가지며,
중부 조간대와 하부 조간대의 발달이 양호하고, 상부 조간대의 발달이 미약하다.
주요 생태계의 특징을 보면 저서 동물로는 조개류,
갯지렁이 등 저서동물 68종이 서식하며, 풀게·동죽 등 수산 자원이 13종에 이른다.

 다양한 염생 식물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조간대 상부에는 칠면초 군락이 있고, 줄포갯벌 제방 안쪽 등 담수의 유입이 있는 곳에는 갈대가 분포하고 있다.
곰소만[줄포만] 연안에는 갈대·칠면초·나문재 등 염생 식물 22종이 서식하고 있다.
물새의 경우 전 세계 생존 계체 1% 이상의 종으로 흰물떼새 1종이 출현하였다.
흰물떼새는 우리나라 생존 개체 1% 이상의 종이다.
그리고 청둥오리·민물도요·큰고니·가마우지·왜가리·중대백로 등 6종이 출현하였다.

 

◆보성-순천갯벌

보성-순천갯벌은 

흑두루미 등 철새 도래지인 전라남도 순천만의 갯벌과

수자원 보고인 보성군 벌교읍의 갯벌로,

2006년 1월 우리나라에서는 4번째로 국제습지조약(람사조약 또는 람사협약)에 습지보호구역으로 등록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사회교실 >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진포  (0) 2022.02.13
우리나라의 갯벌  (0) 2022.02.10
동남아시아  (0) 2021.12.08
최치원 관련 유적지  (0) 2021.06.27
세계 인구  (0) 2020.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