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세계 자연유산에는 4개 갯벌과 2007년 등재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있습니다.
2021년 7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갯벌로는
서천갯벌(충남 서천) 고창갯벌(전북 고창) 신안갯벌(전남 신안) 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등이 있습니다.
5개 지자체에 걸쳐 있는 4개 갯벌은 2007년 등재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이어
14년 만에 두 번째로 등재된 세계자연유산입니다
2022.02.06 - [우리 국토 방랑기] - 제천 의림지
제천 의림지
충청북도 제천에 있는 ‘제천 의림지’는 삼한 시대 축조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입니다. 삼한 시대 축조된 오래된 저수지로는 의림지 외에 김제의 벽골제와 상주의 공검지, 밀양의 수
namjindu.tistory.com
서천갯벌은 금강 하구에 인접해 있는데요
이 지역은 우리나라 3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겨울이 되면, 많은 철새들이 찾는 곳입니다.
국토해양부는 2008년 1월 29일에 충청남도 서천군 일원의 갯벌 16.5㎢를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했고
2009년 12월 2일에는 우리나라에서 13번째로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었습니다.
등록면적은 15.3㎢인데요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은 검은머리물떼새로 유명한 유부도 인근 갯벌(3㎢)과
갯벌체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선도리·장포리 등지의 갯벌(13.5㎢)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천갯벌은 새만금 갯벌이 사라진 후 금강하구에 남아있는 유일한 하구갯벌입니다.
서천갯벌 |
우리나라 3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 |
등록면적은 15.3㎢ |
유부도 인근 갯벌(3㎢)과 선도리·장포리 등지의 갯벌(13.5㎢)로 구성 |
썰물 때 금강하구둑의 배수갑문을 열면 강물이 바다로 유입되며
바닷물과 섞이는 기수역이 형성되는데요 서천갯벌은 이 같은 기수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금강호의 물을 농업용수로 이용하고 있어
장마철이나 홍수 시에 피해예방차원에서 배수갑문을 개방하고 습니다. 따라서 밀물과 썰물 때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경우가 없습니다
갈대ㆍ천일사초ㆍ해홍나물ㆍ칠면초ㆍ갯잔디ㆍ갯쇠보리 등
다양한 염생식물과 사구식물 44종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황조롱이ㆍ노랑부리저어새, 마도요ㆍ흑부리오리 등 멸종위기종과 희귀 조류의 서식처 입니다.
◆ 고창군과 부안군 사이에 있는 곰소만[줄포만]에 위치한 고창갯벌
고창갯벌 |
고창군과 부안군 사이에 있는 곰소만에 위치 |
갈대·칠면초·나문재 등 염생 식물 22종이 서식 |

다양한 염생 식물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보성-순천갯벌
보성-순천갯벌은
흑두루미 등 철새 도래지인 전라남도 순천만의 갯벌과
수자원 보고인 보성군 벌교읍의 갯벌로,
2006년 1월 우리나라에서는 4번째로 국제습지조약(람사조약 또는 람사협약)에 습지보호구역으로 등록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