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시총순위를 보면 1위는 삼성전자가 부동의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시총순위 1위인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현재 441조7,639억 입니다.
코스피 시총순위 2위는 얼마전에 상장한 LG에너지솔루션 입니다.
코스피 시총순위 3위는 SK하이닉스이고요 4위는 삼성전자우선주 입니다.
그리고 코스피 시총순위 5위는 NAVER입니다.
코스피 시총순위 3위인 SK하이닉스는 오랜동안 2위를 달리다 이번에 LG에너지솔루션에게 자리를 내주었습니다.
코스피 시총순위 3위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90조6,363억으로 100원대를 넘보고 있습니다.
코스피 시총순위 1위부터 10위까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목명 | 시가총액 |
삼성전자 | 441조7,639억 |
LG에너지솔루션 | 117조9,360억 |
SK하이닉스 | 90조6,363억 |
삼성전자우 | 55조6,271억 |
NAVER | 53조7,261억 |
삼성바이오로직스 | 50조8,809억 |
LG화학 | 47조8,616억 |
현대차 | 40조5,970억 |
삼성SDI | 40조3,648억 |
카카오 | 38조8,384억 |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의 최근 3개월 주가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총 1위주인 삼성전자의 52주 최고액은 86200원이고요
시총 1위주인 삼성전자의 52주 최저가는 68300원 입니다.
시총 1위주인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은 현재 50%를 넘고 있는 상황입니다.
◆코스피 시총순위 3위 SK하이닉스
코스피 시총순위 3위 SK하이닉스는 현재 시총이 90조6,363억인 가운데 2위 자리 탈환 가능성은 항상 열려있습니다.
코스피 시총순위 3위 SK하이닉스의 최근 1년간 주가변동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됐던 이 회사는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 최대주주가 SK텔레콤으로 바뀌면서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습니다.
코스피 시총순위 3위 SK하이닉스의 연도별 주가변동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력제품은 DRAM, 낸드플래쉬,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삼성전자와 함께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을 주도하는 회사인 SK하이닉스는
2007년부터 시스템LSI 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출하였습니다.
2020년 10월 인텔의 NAND사업을, 21년 10월 키파운드리 지분 100%를 양수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은 D램 28.0%, 낸드플래시 12.9% 입니다.
SK하이닉스 |
삼성전자와 함께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을 주도하는 회사 |
2007년부터 시스템LSI 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출 |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 D램 28.0%, 낸드플래시 12.9% |
삼성전자와 함께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을 주도하는 회사라고 할수가 있습니다.
솔루션(373220)의 상장으로 코스피 시가총액 2위 자리를 내준 SK하이닉스(000660)는
반도체 업황의 반등과 주주친화정책을 계기로 올해 본격적인 주가 상승 추이를 탈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증권가에서도 이 종목에 대한 적극 매수를 권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고정 배당금을 주당 1000원에서 1200원으로 20% 높이고
2024년까지 향후 3년간 창출되는 잉여현금흐름(FCF)의 약 50%를 주주환원 재원으로 쓰기로 했습니다.
'투데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쉘석유 (0) | 2022.02.06 |
---|---|
카카오---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형성 (0) | 2022.02.05 |
국내 전기차 배터리 시장 (0) | 2022.02.01 |
KB금융 코스피 시가총액 10위로 뛰어올라 (0) | 2022.01.19 |
방위산업 관련주 강세 (0) | 202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