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우리나라의 람사르 습지

by 산골지기 2022. 2. 2.
728x90

 

우리나라의 내륙 습지중에서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곳은

경상남도 창녕에 있는 우포늪을 비롯하여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울주무제치늪,

강원도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 대암산 용늪, 제주도의 1100고지 습지등이 있습니다

http://dbdbdeep.com/ma/link.php?lncd=S00257269WC05532786E 

 

http://dbdbdeep.com/ma/link.php?lncd=S00257269WC05532786E

 

dbdbdeep.com

◆울주무제치늪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정족산에 있는 울주무제치늪은 국내 최고의 산지습지 가운데 하나입니다.

국내 최고의 산지습지 가운데 하나인 울주무제치늪은 1998년 환경부로부터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후  2007년 12월에는  람사르습지로  등록되었습니다

울주무제치늪
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정족산에 위치
국내 최고의 산지습지 가운데 하나
1998년 환경부로부터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
 2007년 12월에  람사르습지로  등록

 

경부고속국도 통도사나들목에서 통도사 방면으로 빠져나와 약 4㎞ 이동한 뒤 공원묘지삼거리에서 솥발산 공원묘지 방면으로 좌회전하여 다시 약 4㎞ 이동하면 쉽게 정족산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https://albarich.com/intro/_frm/index.php?code=wunDcosDyh 

 

디제로킹

소유진의 S라인 몸매비결

albarich.com

무제치 늪은 약 6,000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과거의 자연환경을 연구할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큽니다.

 

울주 무제치늪의 모습

제주도의 1100고지 습지... 생태관광보다는 자연관광으로 활용 하여야

제주도의 고산습지인 1100고지 습지는 자연환경은 뛰어나지만 주변에 마을이 조성되어 있지 않고

지역주민도 없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현재 무료로 개방되어 있는 상태여서 수익구조도 전혀 없는 곳입니다.

제주도의 1100고지 습지는 생태관광보다는 자연관광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람샤르 습지중에서 가장 많은 숫자가 분포해 있는 제주도는 한라산과 함께 습지 자원이 새로운 관광자원이 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있습니다.

 

◆대암산 용늪

대암산 용늪은 대암산 일대의 지질 조건과 기후 조건의 영향이 어우러져 형성이 되었습니다.

대암산 용늪
용이 올라가다 쉬었다는 곳
대암산 일대의 지질 조건과 기후 조건의 영향이 어우러져 형성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곳

대암산 용늪에 자생하는 식물들

. 용늪이 위치한 대암산은 산자락에서부터 정상까지 바위들로 이루어진 험한 산이고요

정상부 일원은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 매우 습하고 한랭한 기후가 나타나는 곳입니다.

이 곳은 용이 올라가다 쉬었다는 곳입니다.

대암산 용늪은 물이 고이면서 습지의 토대가 형성된 이후

그 주변으로는 자연스럽게 습지식물들이 자라면서 형성이 되었습니다.

대암산 용늪의 구조

 

대암산 용늪의 모습

 

내륙습지와 갯벌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람사르 습지

대암산 용늪, 경상남도 창녕 우포늪, 신안 장도 습지, 순천만 · 보성 갯벌, 제주 물영아리 오름

, 충남 태안 두웅 습지와 서천 갯벌, 울주 무제치늪, 전남 무안 갯벌, 전북 고창 · 부안 갯벌,

제주 동백 동산 습지, 전북 고창 운곡 습지, 전남 신안 증도 갯벌,

인천 강화도 매화 마름 군락지, 오대산 국립 공원 습지, 제주 물장오리 습지, 한라산 1100고지 습지,

제주도의 람사르 습지

제주도의 람사르 습지에는 제주 물영아리 오름을 비롯하여  제주 동백 동산 습지, 제주 물장오리 습지, 한라산 1100고지 습지가 있습니다.

동백동산습지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마을에서 동남쪽으로 넓게 분포하는 선흘곶자왈에 속해있는데요 이곳은 지하수 함양율이 높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입니다.

동백동산습지 2010년 11월 12일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동백동산습지는 선흘곶자왈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동백나무 군락지로부터 유래한 명칭입니다.

‘곶자왈’은 숲을 일컫는 제주도 방언인데요  ‘곶’은 큰 숲, ‘자왈’은 작은 숲을 의미합니다

 제주도의 람사르 습지
제주 동백 동산 습지
제주 물영아리 오름
제주 물장오리 습지
한라산 1100고지 습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