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대하천은 경동 지형의 영향으로 대부분 서쪽으로 흐르며, 동쪽으로 흐르는 하천과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다.
[우리나라에서 가장긴 하천인 압록강]
황해로 유입하는 대하천은 유로가 길고 경사가 완만하다. 대하천의 중·상류 지역 곳곳에는 분지와 곡저 평야가 분포하며, 하류 지역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평야가 발달해 있다. 또한, 하류에는 황해 조류의 영향으로 감조 구간이 나타난다.
[중국과 연결되는 압록강 철교]
반면, 동해로 흘러 드는 하천은 두만강을 제외하면 대부분 길이가 맑은 고딕'; mso-ascii-font-family: '맑은 고딕';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theme-font: major-latin; mso-ascii-theme-font: major-latin; mso-hansi-theme-font: major-latin; mso-themecolor: text1">짧고 경사가 급하다. 이에 따라 하천의 중·상류에서 큰 분지나 평야를 찾아보기 어렵고, 평야는 바다로 유입하는 하구 일대에 소규모로 나타날 뿐이다.
[두만강]
[두만강의 관광객들]
황해나 남해로 흘러 드는 하천은 밀물과 썰물의 영향으로 강물의 염분, 수위, 속도등이 주기적으로 변하는데, 이러한 하천을 감조 하천이라고 한다. 하굿둑이 건설되기 전까지 금강에서는 부여 부근까지, 낙동강에서는 삼랑진까지 물이 역류했다.
한강에서는 김포에 수중보를 설치한 이후에도 난지도 상류까지 물이 역류했다. 그러나 이러한 곳은 밀물에 밀려들어 오는 힘이 전파되어 연쇄 반응을 일으키는 것일 뿐 바닷물이 직접 들어오는 것이 아니다. 과거에 어선과 기타 선박들은 밀물과 썰물을 이용하여 강을 오르내렸다.
우리나라 하천은 세계의 다른 기후 지역을 흐르는 하천에 비해 계절에 따라 유량변동이 큰 편이다.
[낙동강 하구의 철새]
[낙동강 권역]
유량 변동이 크게 나타나는 주원인은 계절에 따라 강수량 변동이 심하고, 하천의 유역 면적이 좁기 때문이다. 즉, 여름철에 집중 호우가 내리면 홍수가 날 정도로 유량이 급증하고, 가뭄이 mso-hansi-font-family: '맑은 고딕'; mso-fareast-theme-font: major-latin; mso-ascii-theme-font: major-latin; mso-hansi-theme-font: major-latin; mso-themecolor: text1"> 들면 강바닥이 드러날 정도로 유량이 감소한다.
한편, 유량 변동이 크게 나타나는 부수적인 원인은 시기에 따라 다른데, 과거에는 산지에 식생이 빈약하여 물을 저장하지 못해 유량이 급증하였다면, 최근에는 지류 주변에 위치한 도시의 대부분 지역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덮여 있어 국지적인 호우 시에 빗물이 빠른 속도로 흘러들어 유량이 급증한다.
'사회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의 침입으로 인한 피해 (0) | 2015.01.05 |
---|---|
역사 매거진 (0) | 2014.12.03 |
산성비와 오존층 파괴 (0) | 2014.08.17 |
생태관광과 녹색금융 (0) | 2014.08.16 |
우리나라와 세계의 도시 체계 (0) | 201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