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란 인간의 모둠 살이 즉, 생활 거주지를 바탕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취락을 의미한다. 도시와 촌락으로 구성되어 있는 취락은 계층적으로
체계를 이루며 분포하고 있다.
정주 체계라는 말은 우리가 이러한 공간 조직을 파악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취락의 계층성은 리, 면, 읍, 시, 대도시로 이어진다. 촌락과 도시는 지역 간 상호작용에 의해서 하나의 정주 체계를 이루고 있으며, 나아가 한 지역이나 국가 내의 도시들도 하나의 체계를 이룬다.
한편, 도시 체계란 도시를 점으로 파악하여 도시 간의 상호 의존 관계나 연계망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파악하는 관점이다.
우리나라의 도시 체계는 국토 분단, 공업화와 도시화, 거점 개발 방식의 국토 개발 등으로 인해, 최상위 도시인 서울특별시의 성장이 빠른 수위 도시형의 도시 체계 발달이 나타났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지방 대도시들이 성장하여 서울의 수위성이 조금씩 약화되고 있다’.
1990년대 들어서면서 국가 간의 경계를 넘어 사람,물자, 정보 교류가 활발해지는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화는 국가 간의 상호 의존성을 확대하고, 경제를 중심으로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며, 국가 단위의 경쟁이 아닌 지구촌을 대상으로 한 경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이 과정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특정 도시로 자본, 인구, 기능 정보 등이 집중하면서 세계 도시가 출현하게 되었다.
세계 도시는 도시의 인구 규모나 사회적·정치적 기능에 따라 정해지기 보다는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장소로써 의미가 크다. 즉, 세계 도시란 세계 경제의 의사 결정 장소이며, 세계의 자본이 집중되고 축적되는 장소를 말한다. 따라서 세계 도시는 세계 도시체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주요 도시로서 결절점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계 도시는 각종 상품, 재화, 자본, 증권 등의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고차원의 사업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다국적 기업의 본사들이 위치하여 의사 결정의 핵심 역할을 하며, 각종국제기구의 본부가 입지하고, 대중 매체, 정보 서비스 등 문화 사업의 핵심 기능을 보유한다.
'사회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성비와 오존층 파괴 (0) | 2014.08.17 |
---|---|
생태관광과 녹색금융 (0) | 2014.08.16 |
석유와 배구 (0) | 2014.08.05 |
쇼펜하우어 (0) | 2014.07.11 |
농업과 종교 (0) | 201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