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

조선역사둘러보기

by 산골지기 2014. 6. 15.
728x90

안동의 의병

 

 

안동 지역에서 활약한 항일의병으로는

 김시현과 김지섭을 들수가 있다.

 

 

 

 

 

 

김시현은 1883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출생하였는데 1919년에 만주로 가서 의열단에 가입을 하였다.

 

의열단의 요원들과 항일투쟁을 펼친 김시헌은 의열단의 지도자들과 함께 폭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나서기도 하였다.

 

이후 1923년에는 고향 안동을 폭탄의 중계지로 확보하기 위하여 안동을 답사하기도 하였다.

안동의 또다른 항일의병으로는 김지섭을 들수가 있다.

 

1885년에 안동에서 출생한 김지섭은

1920년에 중국의 상하이로 망명하여 의열단에

가입해서 활약을 하였다.

 

이후 일본에 가서 활약을 하다가 도쿄 왕궁앞 폭탄 투척 사건에 연루가 되어서 무기징역형을 선고 받기도 하였으며 이후 옥고를 치르다가 지바 형무소에서 의문의 죽음을 당하게 되었다.

 

 

 


 

 

 

조선의 지방 등급

조선시대의 지방의 등급은 부---현으로 구분이 된다.

조선시대에 가장 발달한 도시로 분류가 되는 부에는 평안도의 평양과 경상도의 경주 그리고 하경도의 함흥, 강원도의 강릉을 들수가 있다.

목에는 길주와 해주 정주, 안주등을 비롯하여 충청도의 청주목과 홍주목 그리고 공주목을 들수가 있다.

또 전라도의 광주와 능주 나주등이 목으로 지정이 되어 있었다.

부를 다스리던 관리를 부윤이라고 하였으며 목을 다스리던 관리를 목사라고 하였고 그 아래에 군수와 현령이 군과 현을 각각 다스렸다.

 


 

 

이황의 성리학

 

이황의 성리학은 이를 바탕으로하여 정립이 되었는데 임진왜란이후 일본에도 전래가 되어서 일본의 유학발달에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

 

이이가 현실적인 사상을 강조한 반면에 이이는 관념적이면서도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심오한 학문을 펼친것이 특징이다.

 

이황의 사상은 성리학을 열개의 그림으로 표현한 성학십도에 잘 나타나 있다.

 

 

 

****이황은 성학십도에서 경의 사상을 강조하면서

인간의 본성을 탐구함과 동시에 실천의 윤리를 강조하였다.

 


 

 

영주의 인물

 

경상북도 영주가 배출한 역사적인 인물로는 먼저 성리학을 도입한 안향을 들수가 있다.

 

안향은 고려말에 원나라로부터 성리학을 처음 도입하였는데 안향을 기리는 서원으로 소수서원이 있다.

 

 

 

 

소수서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으로 이름이 높다.

 

다음으로 영주의 대표적인 역사인물로는 삼봉 정도전을 들수가 있는데 정도전은 조서의 설계자였지만 왕자으 난때에 이방원에게 죽임을 당한 인물이었다.

정도전은 민본주의 사상의 주창자로서도 이름이 높다.

 

다음으로 조선의 대표적인 천문학자인 김담을 들수가 있다. 김담은 조선의 역법서인 칠정산을 저술한 인물이다.

 
728x90
반응형

'우리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말의 충신  (0) 2014.06.15
조선역사 매거진  (0) 2014.06.15
직지  (0) 2014.06.11
밀교대장 발견  (0) 2014.06.08
고려의 지방 정비  (0) 2014.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