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교실/지리

온대 동안 기후지역과 주민생활

by 산골지기 2015. 10. 27.
728x90

 

온대 동안 기후 지역은 대륙과 해양의 비열 차이로 발생한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다. 계절풍은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달라지는데, 겨울에는 대륙에서 해양으로, 여름에는 해양에서 대륙으로 바람의 방향이 바뀐다.

 

이로 인해 계절에 따라 기온, 강수, 풍향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중위도 대륙 동안 지역의 겨울은 한랭 건조한 대륙 기단의 영향으로 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고온 다습한 해양성 열대 기단의 영향을 받아 여름철 평균 기온이 24~27℃로 덥다. 강수량은 740~1,600 정도로 대륙서안에 비해 많은 비가 내린다. 열대 저기압이 통과할 때에는 집중 호우가 나타나기도 한다.

 

온대 동안 기후는 온대 동계 건조 기후와 온난 습윤 기후로 구분된다. 온대 겨울 건조 기후는 여름에는 고온 다습하고 겨울에는 한랭 건조하여 기온의 연교차와 강수의 계절 차가 매우 크며, 상록 활엽수와 혼합림이 숲을 이룬다.

 

우리나라 남부 지방과 위도 20~30°부근의 대륙 동안인 중국 남부, 인도차이나 반도 북부, 미국 중남부와 멕시코 일대, 남아메리카의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나타난다. 온난 습윤 기후는 온난 다습한 해양성 열대 기단과 난류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풍부하며, 건기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북반구의 온난 습윤 기후 지역에서는 열대 이동성 저기압이 통과할 , 풍수해를 입기도 한다. 식생은 상록 활엽수와 낙엽 활엽수, 침엽수가 혼합림을 이룬다. 위도 30~40°부근의 중국 남동부, 미국 남동부, 남아메리카 동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지역에서 나타난다.

 

계절풍은 대륙과 해양의 비열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겨울에는 유라시아 대륙이 해양보다 먼저 냉각되어 하강 기류가 형성되어 강력한 고기압이 발달한다.

 

 바람이 대륙에서 해양으로 불면서

 

한랭 건조한 바람의 영향으로 차고 메마른 날씨가 이어진다.

 

반면에 여름에는 대륙이 빠르게 가열되면서 상승 기류가 형성되어 저기압이 발달하여, 해양에서 대륙으로 바람이 분다.

 

해양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 기가 많은 더운 날씨가 이어진다 온대 동안 기후 지역은 계절풍의 영향으로 여름에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풍부하므로 벼농사에 유리하다.

 

 겨울에도 비교적 온화한 중국 창장 (양쯔 ) 유역에서는 벼농사와 재배가 활발하며, 중국 주장 일대와 베트남 북부 지역에서는 벼의 2기작이 이루어지며, 사탕수수가 재배된다.

 

여름 강수 집중률이 높은 대륙 동안 기후는 하상계수가 높기 때문에 내륙 수운의 발달에 불리하므로, 빈번한 홍수와 불안정한 유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목적 댐을 건설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사회교실 >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걸음과 생활  (0) 2015.10.31
5곳이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어 있는 제주도  (0) 2015.10.30
세계 도시  (0) 2015.10.29
도시체제의 형성  (0) 2015.10.29
온대 동안 기후 지역  (0) 2015.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