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양사/일본사9

히메이지성 히메이지성은 아카마츠 사다노리가 건축햇다는 기록이 남아있을뿐 이성의 건축을 주도한이가 누구인지는 명확하지가 않습니다 히메이지성 축성은 1346년 아카마쓰 사다노리가 남북조 시대에 그의 아버지 아카마쓰 노리무라가 히메야마 산에 세웠던 사찰 쇼묘지를 토대로 성을 축성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1441년 가키쓰의 난에서 아카마쓰 가문이 몰락하자 야마나 가문의 세력하에 있게 되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오닌의 난이 일어났고, 이런 혼란한 상황 속에 다시 아카마쓰 가문이 이 지역을 탈환하였다. 16세기 전반 고차쿠 성을 중심으로 아카마쓰 가문의 일족인 고데라 가문이 하리마 평야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고데라 가문의 사관이었던 구로다 시게타카가 조다이로 하리마 성에 입성한다. (이 시기 축성설도 있다.) 시게타카.. 2017. 8. 24.
가마쿠라 막부 가마쿠라 막부는 1192년(겐큐(建久) 3년)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가 정이대장군(征夷大将軍)으로 임관되어 시작되었다고 여겨지고 있었지만, 요리토모의 권력·통치 기구는 그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어, 현재는 실질적인 성립은 1192년 전인 즉 1185년이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또, 일본에서 첫 번째 무사 정권이라고 여겨진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헤이케 정권에 뒤를 잇는 무사 정권으로 자리 매김되고 있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무사 정권의 성립을 명확하게 선언한 것이 아닌 것도 있어, 후세의 연구가의 사이에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 시기에 대하고 논의를 하였다. 막부의 성립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이유로서는 가마쿠라 막부가 그 무사 정권으로서의 체제를 정돈하기까지는 몇단계를 거치고 있는 걸.. 2016. 10. 18.
삼국의 항쟁과 야마토 정권 성장 만주와 한반도에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7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팽팽하게 맞섰다. 그들은 크고 작은 군사적 충돌을 벌이는 한편, 안으로 집권자에게 권력을 집중시키고 밖으로 남북조 및 왜를 포함한 국가들과 연합하는 치열한 외교전을 펼치면서 국가의 생존과 영역 확장을 꾀하였다. 한때 북쪽으로 고구려를 위협하던 백제는 남조 및 왜와 연결하여 세력을 유지하려 하였고, 신라는 한강 유역을 장악한 후 남조 및 수·당과 직접 교류에 나섰다. 고구려는 대외 확장을 노리던 수·당에 맞서 돌궐 및 백제, 왜와 연결하였다. 일본 열도에서는 야마토 정권이 점차 세력을 확대하여 5세기 후반에는 규슈 북부에서 간토에 이르는 각지의 권력자들을 복속시켰다. 아울러 중국의 남조와 한반도의 삼국, 그중에서도 백제로부터 선진 문물을 .. 2016. 9. 3.
일본과 2차 대전 일본은 대공황 이후 수출이 감소하고 실업자가 늘어나는 등 불황에 빠지 자 우익과 군부 세력이 침략 전쟁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만주 사변을 일으켜 (1931) 만주 일대를 점령하였다. 그리고 루거우차오 사건(1937)을 빌미로 대규모의 군대를 파견하여 중국 본토를 본격적으로 침략(중·일 전쟁)하였다. 이후 3개월 만에 상하이를 점령하고 난징을 공격하여 함락하였다. 일본의 대륙 침략이 본격화되자 중국의 국민당과 공산당은 시안 사건을 계기로 내전 중단, 공동 항일 투쟁에 합의하여 제2차 국·공 합작을 이루고 미국과 영국의 군수 물자 지원을 받아 항전하였다. 유럽에서는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였다(1939). 일본은 전란에 휩싸인 영국, 프랑스 등 동남아시아에 식민지를 가지 고 있던.. 2015.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