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황제는 러시아 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거처를 옮긴이후 나라의 면모를 새롭게 한다는 의미에서 1897년에 대한제국의 수립을 선포하게 됩니다
1897년(광무 원년) 2월 20일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그 해 8월 17일 광무(光武)란 연호를 쓰기 시작하고 10월 3일 황제 칭호 건의를 수락하였다.
고종은 자주 의지를 대내외에 널리 표명하고 땅에 떨어진 국가의 위신을 다시 일으켜 세우려면 반드시 제국이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고종은 1897년 10월 12일
원구단(園丘團)에서 상제(上帝)님께
천제를 올리고 국호를 대한제국이라 고치고
황제로 즉위하였다.
대한제국이 선포되자 각국은 대한제국을 직접으로, 간접으로 승인하였다. 그중 제정 러시아와 프랑스는 국가 원수가 직접 승인하고 축하하였으며 영국, 미국, 독일도 간접으로 승인하는 의사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당시 열강 대부분은 대한제국의 성립을 그다지 반기지 않았다. 제위에 오른 고종은 그 직후인 11월 12일 미루었던 명성황후의 국장(國葬)을 치렀으며, 과거에 청에 사대하던 관계를 상징하던 영은문을 허물고 그 자리에 독립문 건립에 추진하여 11월 20일에 완공하여 조선의 자주독립을 원하고 있었다.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하고서 입법기관인 교전소를 설치하고 원로대신 다섯 명과 더불어 박정양과 이완용, 서재필, 탁지부 고문 영국인 존 브라운, 법부 고문 샤를 르장드르를 위시한 외국인 고문관들을 교전소 부총재와 위원으로 배정했으나 교전소 위원이 친미개화파와 외국인이 과반수를 차지하자 원로대신들이 꺼리는 바람에 수포로 돌아갔다
'우리 역사 > 근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94년에 일어난 사건 (0) | 2018.09.22 |
---|---|
통감부와 총독부 (0) | 2018.08.11 |
애국 계몽 운동 (0) | 2018.05.31 |
광주학생항일운동 (0) | 2018.05.29 |
우리나라 근대 학교 (0) | 2018.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