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근현대사

8·15선언’과 남북적십자 회담

by 산골지기 2016. 9. 28.
728x90

1970년 8월 15일 박정희 대통령은 ‘평화통일구상’ 선언을 발표하였다. 통칭 ‘8·15선언’으로 불리는 이 선언에서 박 대통령은 남북간의 군사적 대결을 지양하고, “어느 체제가 보다 국민을 더 잘 살게 하느냐?”고 하는 ‘선의의 경쟁’을 제의하면서 ‘인도적 문제의 해결과 통일기반 조성에 기여할 획기적인 조치’를 취할 용의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8·15선언’이 있은 후 1년 만인 1971년 8월 12일, 대한적십자사 최두선 총재는 특별성명을 발표, “남북이산가족들의 비극은 금세기 인류의 상징적 비극”이라고 하면서 “남북통일이 단시일 내에 이루어지기 어려운 현실하에서 적어도 1000만 이산가족들의 실태를 파악하고 소식을 전해 주며 재회를 알선하는 가족찾기운동만이라도 우선 전개할 것”을 북한에게 제의했다.

제1차 본회담은 1971년부터 시작되어 5차례의

파견원 접촉과 25차례의 예비회담을 거쳐

1972년 8월 29일 평양에서 열렸다.


 

그후 서울과 평양을 회담장소로 1985년 12월 4일까지

 10차례의 본회담이 개최되었다.

제1, 2차 회담에서는 남북 이산가족과 친척들의 주소 및 생사확인, 자유로운 방문과 상봉, 자유로운 서신왕래, 자유 의사에 의한 재결합 문제와 기타 인도적으로 해결할 문제 등 5개항의 의제에 대해 합의했다.


그러나 1972년 제3차 회담부터 1973년 제7차 회담까지 북한측이 본회담의 선결조건으로 내세운 '반공입법들의 폐지와 반공기관 및 단체들의 해산' 문제를 둘러싸고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해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후 중단된 회담의 재개를 위해 7차례의 대표회의와 25차례의 실무회의를 가졌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던 차에 1984년 9월 18일 수해물자의 인도·인수를 위한 남북적십자사간의 실무자 접촉을 계기로 3차례의 본회담이 재개되었다.

반응형

'우리 역사 > 근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6 군사 정변  (0) 2016.10.04
근대 서양함대의 강화도 침입  (0) 2016.09.30
황성신문과 제국신문  (0) 2016.09.27
베트남 전쟁  (0) 2016.09.17
조선족  (0) 2016.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