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근현대사

근대에 발행된 신문

by 산골지기 2025. 3. 8.
728x90

19세기 말에 발행된 우리나라의 근대 신문

19세기 말에 발행된 우리나라의 근대 신문으로는 한성순보와 한성주보, 독립신문, 황성신문, 제국신문이 있습니다.

한성순보와 한성주보 한성순보 1883년부터 1884년에 걸쳐 2년간 발행 한성주보 한성순보가 페간 된 후에는 한 주일에 한 번씩 발간 우리나라의 근대 신문인 한성순보는 1883년부터 1884년에 걸쳐 2년간 발행이 되었습니다.

 한성순보가 페간 된 후에는 한 주일에 한 번씩 발간이 되는 한성주보가 1886년에 발행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은 독립신문인데요 독립신문은 1896년에 독립협회에서 발행을 하였습니다. 독립신문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 독립협회에서 발행

 황성신문은 1898년에 남궁억이 발행을 하였습니다.

남궁억이 발행한 황성신문

남궁억이 발행한 황성신문은 후에는

발행인이 장지연으로 바뀌게 됩니다.

제국신문은 순 한글로된 신문인데요

1898년에 발행이 되었으며 주로 부녀자들 사이에서 많이 애독이 되었습니다.


1898년에 발행된 신문 황성신문

1898년에 남궁억이 발행


제국신문

순 한글로된 신문

부녀자들 사이에서 많이 애독


1900년대 초에 발행된 우리나라의 근대 신문 대한매일신보 

1904년에 영국인 베델과 양기탁이 발행한 대한매일신보는 한일합방 후 총독부의 기관지로 바뀝니다.

1900년대 초에 발행된 우리나라의 근대 신문으로는 대한매일신보와 만세보, 경향신문이 있습니다.

1900년대 초에 발행된 우리나라의 근대 신문인 대한매일신보는

1904년에 영국인 베델과 양기탁이 발행을 하였습니다. 

베델과 양기탁이 발행한 대한매일신보 민족주의적인 색체가 강했던 대한매일신보는 한일합방 후 총독부의 기관지로 바뀌게 됩니다.

대한매일신보를 발행한 양기탁 1900년대 초에 발행된 우리나라의 근대 신문인

만세보와 경향신문은 종교단체의 기관지 였는데요

만세보는 천도교의 기관지 였고 경향신문은 천주교의 기관지 였습니다.

천도교의 기관지인 만세보는 1906년에 오세창과 손병희가 간행을 하였습니다.

천주교의 기관지였던 경향신문은 1906년에 프랑스 신부 안세화가 발행을 하였습니다.

황성신문과 제국신문


 김성수가 발간한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에 김성수가 발간을 하였습니다.

아일보는 3.1운동이후 일제가 취한 문화정책에 영향을 받아 발간이 되게 됩니다.

동아일보는 1920년에 발간된 조선일보와 함께 일제시대 우리나라 대표적인 민간신문으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동아일보와 함께1920 년에 발간된 조선일보

김성수가 발간한 동아일보는 창간 초기에는 조선총독부의 탄압을 많이 받았습니다.

창간 직후에 415일자 기사 '평양에서의 만세소요'가 압수처분을 받게 됩니다.

 19209월에는 '제사(祭祀)문제를 재론(再論)하노라'가 문제가 되어 처음로 정간 처분을 당하게 됩니다. 

동아일보가 받은 1차 정간은 창간 이듬해인 19211월에 해제가 되게 됩니다.

 인촌 김성수가 창간한 동아일보는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여러 사업을 벌였습니다.

창간 이듬해인 1921년에는 김동성 기자가 국제기자대회에 참석하면서 대외적인 활약을 펼치게 됩니다.

 1922년에는 재외동포 위문모금운동을 추진하였고요

비행사 안창남이 국내에 왔을떄에는 고국방문 비행을 주최하기도 했습니다.

19239월에는 일본 관동대지진 당시 동포 학살 참상을 취재 보도하면서 일제의 만행을 규탄하기도 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이후 지방판도 발행을 하면서 우리나라 신문중에서 처음으로 지방판을 발간한 신문이 되게 됩니다.

동아일보
우리나라 신문중에서 처음으로 지방판을 발간

동아일보의 지방판은 중부·서북·삼남의 3개 지방판 분리 편집을 하였습니다.동아일보는 신문발행외에 여러 사업을 통해 민족운동을 꾸준히 계속하게 됩니다.

 동아일보는 193111월에는 자매잡지인 신동아를 창간했고

뒤어어 1933년에는 여성지 신가정을 창간하게 됩니다.


동아일보의 자매잡지

1931년 11월에 자매잡지인 신동아를 창간

1933년에 여성지 《신가정》을 창간

여성지 《신가정》


 동아일보 창간호의 모습 동아일보는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을 때에

일장기 말소사건을 일으키게 됩니다.

1936년에 있은 동아일보의 '일장기 말소사건'은 민족언론의 저항정신이 살아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 이었습니다.

동아일보는 손기정의 일장기 말소사건이 원인이 되어 무기정간을 당하게 됩니다.

 

동아일보는 1931년 11월에는 자매잡지인 신동아를 창간했고 뒤어어 1933년에는 여성지 《신가정》을 창간합니다.

728x90
반응형

'우리 역사 > 근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채보상운동  (0) 2024.02.12
유학산 전투  (0) 2023.10.27
근대 신문  (0) 2022.03.20
근대 신문  (0) 2022.02.06
개화기의 근대적 시설  (0) 2022.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