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해안가에서 형성되는 지형

by 산골지기 2023. 7. 2.
728x90

해안사구와 갯벌

해안가에서 형성되는 지형으로는 해안사구와 갯벌이 있는 데요

해안사구와 갯벌은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큰 서해안에서 주로 형성이 되고 있습니다.

해안에 발달한 모래언덕인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안에 발달한 사구를 말하는데요

해류에 의하여 운반된 모래가 파랑으로 밀려 올려진 상황에서 탁월풍이 모래를 밀어 올려서

모래가 낮은 언덕 모양으로 쌓여서 형성된 지형을 말합니다.

두웅습지에 있는 개구리

우리나라에서 해안사구에 형성된 습지로는 충청남도 태안반도에 위치한 두웅습지가 있습니다.

충청남도 태안반도에 위치한 두웅습지는 람사르 습지에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의 위치한 두웅습지는

2007년에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습니다. 두웅습지에서는 모래로 만들어진 호수에 민물이 고여 있습니다.

충청남도 태안반도에 위치한 두웅습지


육지와 바다를 이어주는 갯벌

서해안과 남해안에 많이 발달한 갯벌은 육지와 바다를 이어주는 완충지대라고 할 수가 있는데요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지점에서 각종 어패류의 서식지가 되고 있으며 풍부한 수산자원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갯벌은 많은 해양생물들이 산란장소가 되기도 하고요

오염 물질을 정화시키면서 바다의 쓰레기처리장 기능도 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배출하여 바다로 흘러 보내는 각종 오염 물질은 갯벌에서 많이 정화가 되게 됩니다.

갯벌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생물체인 갯지렁이 100마리가 한 사람이 배출하는 배설물 500g을 정화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생물과 갯벌
갯벌 속에는 멸종위기에 처해진 생물 중 약 30%정도가 서식

갯벌은 생물체의 보고이기도 한데요 해안가에서 형성되는 갯벌 속에는 멸종위기에 처해진 생물 중 약 30%정도가 서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갯벌에서 생활하는 생물들은 식량자원을 제공해주는 역할도 하고요 의학 자원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세계5대 갯벌 중의 하나인 서해안 갯벌은 우리나라의 중요한 문화유산이기도 한데요

갯벌에서 조개 캐기나 해수욕, 머드 팩 체험등의 다양한 체험활동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갯벌은 자연체험 학습장으로 활발하게 이용이 되는 것입니다.

갯벌은 자연재해와 기후조절의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형성되는 갯벌은 홍수 때는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하여

홍수피해를 방지하는데도 많은 도움을 줍니다.

이외에 공기 중의 온도와 습도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등 기후조절 기능도 담당하게 됩니다.

갯벌의 기능
풍부한 수산자원을 제공
오염 물질을 정화시키는 쓰레기 처리장 적인 기능
생태자원의 보고
갯벌에서 이루어지는 체험 활동
조개 캐기, 해수욕, 머드 팩 체험
생물체의 보고인 갯벌
식량 자원과 의학 자원의 공급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