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와 시조창
시조는 시절가조의 준말인데요 시조가 처음 출현한 것은 명확하지 않지만
고려말부터 본격적인 시조 출현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고려말에는 고려왕조에 대한 지조를 표현하는 시조들이 많이 쓰여졌고요
조선전기에는 주로 양반들을 중심으로 시조가 쓰여졌습니다.
이외에 조선시대에는 기생들도 중요한 시조작가에 해당이 됩니다.
조선시대에 시조를 많이 지은 대표적인 기생으로는 황진이와 매창등이 있습니다.
조선후기에 오면 형식에서 탈피된 시조인 사설시조가 크게 유행을 하게 됩니다.
●시조창
시조창은 시조의 가사를 사용하여 부르는 대중적인 성악곡인데요
시조창을 처음 정리한 인물은 영조 때 가객인 이세춘입니다.
시조창 |
시조의 가사를 사용하여 부르는 대중적인 성악곡 |
영조 때 가객인 이세춘이 정리 |
시조의 악보가 기록된 문헌으로는 서유구가 지은 임원경제지입니다.
임원경제지 |
시조의 악보가 처음 기록된 문헌 |
서유구가 지은 임원경제지에 나오는 시조 악보는 경제(京制)의 평시조에 해당합니다.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여러 가지 가곡의 영향을 받아 많은 시조 곡조가 파생되었습니다.
●지역에 따른 시조창
시조에 곡을 붙인 것을 시조창이라고 하는데요
시조창은 조선후기에 각 지방으로 널리 보급이 되게 됩니다.
시조에 곡을 붙인 시조창이 각 지방으로 널리 보급됨에 따라
그 지방의 기호에 맞는 지방적 특징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서울 · 경기 지방을 중심으로 경제(京制)가 발달을 하였고
전라도지방을 중심으로 완제(完制)가 발달을 하게 됩니다.
이외에 경상도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영제(嶺制)가 발달을 하였고요
충청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내포제(內浦制)가 발달을 하였습니다.
지역에 따른 시조창 | |
경제(京制) | 서울 · 경기 지방 |
완제(完制) | 전라도지방 |
영제(嶺制) | 경상도지방 |
내포제(內浦制) | 충청지방 |
경제의 시조는 전통 가곡의 형식을 본받아 많은 파생곡이 생기게 됩니다. 경제는 피리나 대금 등 반주가 수반이 됩니다.
●남훈태평가
시조창의 가사를 기록한 가집으로는 남훈태평가(南薰太平歌)가 있습니다.
남훈태평가 |
시조창의 가사를 기록한 가집 |
엮은 연대와 작자 미상 |
한글로 표기된 시조 가곡집 |
시조창의 가사를 기록한 가집인 남훈태평가는 순 한글로 표기된 시조 가곡집인데요
엮은 연대와 작자는 자세하지 알수가 없습니다.
시조창의 가사를 기록한 가집인 남훈태평가가 편찬된 시기는
세도정치 시기인 조선 순조에서 철종 연간인 것으로 추측이 됩니다
남훈태평가에 수록된 대표적인 시초창 가사로는
매화야 옛 등걸에 봄철이 돌아온다. 춘설(春雪)이 하 분분하니, 필지 말지도 하다마는으로 시작이 되는 매화가가 있습니다.
이외에 기러기떼 많이라는 사설시조도 남훈태평가에 수록이 되어 있습니다.
남훈태평가에 수록된 기러기떼 많이라는 사설시조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러기떼 많이 앉은 곳에 포수(砲手)는 총을 함부로 쏘지
마소먼 북쪽과 남쪽을 오가는 길에 님의 소식을 누가 전하겠는가우리도 그런 것을 알기에 쏘지 않습니다
------------------------------------------------------------------------------------------------------------
남훈태평가에 수록된 기러기떼 많이라는 사설시조의 내용
기러기떼 많이 앉은 곳에 포수(砲手)는 총을 함부로 쏘지
마소먼 북쪽과 남쪽을 오가는 길에 님의 소식을 누가 전하겠는가우리도 그런 것을 알기에 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