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데이/일상

서경덕과 이이, 이황

by 산골지기 2022. 9. 11.
728x90

 

조선의 3대 성리학자
서경덕 주기론의 창시자
이이 성리학을 집대성한 인물
이황 동방의 주자
주리설을 체계화

 

●주기론의 창시자 서경덕

‘조선의 3대 성리학자’로 불린 서경덕은 조선시대 주기론의 창시자입니다.

서경덕의 어머니는 공자의 사당에 들어가는 꿈을 꾸고 서경덕을 낳았습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영리하였던

서경덕은 가난한 집안 형편 때문에 혼자서 공부를 하였습니다.

 

서경덕은 가난한 집안 형편 때문에 봄철이면 들에 나가 나물을 뜯어 와야 했는데요 저녁 늦게 들어온 그의 바구니는 늘 비어 있었습니다. 하루는 어머니가 서경덕에게 그 까닭을 묻자 서경덕은 이렇게 대답했다고 합니다.

 

서경덕 이미지

 

terms.naver.com

나물을 뜯으러 들판에 나가니 종달새가 날고 있었습니다.

그제는 한 치쯤 날아오르더니 어제는 두 치쯤 날아올랐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세 치쯤 날아오르는 것을 보았습니다.

종달새가 나는 것을 보며 그 이치를 생각하느라 늦었습니다.

조선시대 기 사상의 창시자인 서경덕은 열네 살 때 서경을 배우다가 혼자서 태음력의 이치를 깨달았습니다.

조선시대 기 사상의 창시자인 서경덕은 서른한 살 때 벼슬에 오를 기회가 있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평생 학문에만 힘썼습니다.

 

●기 사상을 체계화한 이이

서경덕에서 시작된 기 사상을 체계화한 성리학자는 율곡 이이입니다.

율곡 이이
기 사상을 체계화한 성리학자
현실주의를 강조
우리나라의 18대 명현 가운데 한 명

조선 중기의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이이는 동호문답, 자경문, 성학집요, 기자실기 등의 저술을 남겼습니다.

기 사상을 체계화한 이이는 현실주의를 강조하는 가운데

동호문답만언봉사시무육조 등을 통해 조선 사회의 제도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기 사상을 체계화한 이이는 우리나라의 18대 명현 가운데 한 명인데요 공자를 모신 사당인 문묘에 배향되어 있습니다.

이이의 저술
동호문답
성학집요
기자실기

공자를 모신 사당인 문묘에 모셔진 우리 나라의 유학자는 모두 18위입니다.

문묘에 가장 먼저 등장한 사람은 최치원인데요

신라의 최치원이 고려 현종 시기에 종사되었습니다.

이후 1022년에는 원효의 아들인 설총이 종사되었으며,

고려 충숙왕 시기에는 안유가 종사되었습니다.

고려의 정몽주 이하 15위는 조선조의 태종 때부터 정조 때까지의 사이에 종사하게 됩니다.

고려때 문묘에 종사된 인물
1022년에 원효의 아들인 설총이 종사
고려 충숙왕 시기에 안유가 종사
고려 현종 시기에 최치원이 종사

 

****조선의 3대 성리학자

조선의 3대 성리학자는 서경덕과 이이, 이황입니다.

서경덕은 주기론의 창시자이고요 이이는 성리학을 집대성한 인물입니다.

그리고  이황은 동방의 주자로 불린 유학자입니다.

조선시대 실학을 집대성한 인물이 정약용이라면

성리학을 집대성한 인물은 율곡 이이입니다.

이황은 주리설을 체계화하는 가운데 동방의 주자로 불렸습니다.

동방의 주자로 불린 이황의 사상은 일본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성리학을 집대성한 인물인

이이는 과거시험을 칠 때 마다 장원으로 급제하였던 천재입니다.

퇴계 이황

 

728x90
반응형

'투데이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민요  (0) 2023.03.06
독일의 통일  (0) 2022.10.06
강원도 고성군에 있는 석호  (0) 2022.09.05
태풍  (0) 2022.09.03
우리나라 최초의 교회  (0) 2022.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