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문화유산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면
먼저 공예에서는 청자가 유명하고요 건축에서는 불교관련 문화재들이 매우 많이 있습니다
고려시대의 청자는 순청자에서 상감청자, 분청사기의 순으로 발달을 하게 됩니다
순청자는 상감이나 다른 물질에 의한 장식무늬가 들어가지 않는 청자를 말하는데요
음각, 양각, 투각기법으로 장식된 청자들과 동,식물 등을 모방해 만든 상형청자 등도 여기에 속합니다.
순청자는 9∼10세기 무렵 청자의 초보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후에 상감청자로 발전하게 됩니다.
고려청자는 단순한 예술품이 아니라,
과학적 지식이나 방법을 모르면 만들어 낼 수 없는 발명품이기도 했다고 하겠습니다
송나라의 서긍이 쓴 《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청자를 다음과 같이 묘사 하였습니다.
“도준(陶尊), 도기의 푸른 빛깔을 고려인은 비색(翡色)이라고 하며, 근년의 만듦새는 솜씨가 좋고 빛깔도 더욱 좋아졌다. 술그릇의 형상은 오리 같으며, 위에 작은 뚜껑이 있는 것이 연꽃에 엎드린 오리의 형태를 하고 있다” “도로(陶爐), 즉 사자 모양을 한 향로 역시 비색이며, 위에 쭈그리고 있는 짐승이 있고, 아래에는 앙련화(仰蓮花:위로 향한 연꽃)가 있어서 그것을 받치고 있다. 여러 기물들 가운데 이 물건이 가장 정절(精絶)하고, 그 나머지는 월주(越州)의 고비색(古秘色)이나 여주(汝州)의 청자와 유사하다”.
고려시대의 청자------
순청자- 상감청자- 분청사기
고려시대의 청자는 시기에 따라서 형태가 조금씩 변하는데요 초장기에는 표면에 특별한 무늬가 없는 순청자가 발달을 하게 됩니다.
이후 표면에 무늬를 새긴 청자인 상감청자가 발달을 하고요 마지막 단계에서는 분청사기로 변천을 하게 됩니다.
상감청자가 발달한 이후 마지막 단계에서 등장한 분청사기는 청자에서 백자로 넘어가는 교량역할을 했다고 볼수도 있습니다
분청사기는 분장회청사기의 약칭으로 회색 또는 회흑색 태토 위에 백토로 표면을 분장한 다음 유약을 입혀서 구운 자기입니다.
분청사기는 고려 시대 말기인 14세기 중반에 시작하여
세종~세조 시대인 15세기에 전성기를 이루게 됩니다.
분청사기이후에는 백자가 발달을 하게 됩니다
분청사기
고려 시대 말엽부터 조선중엽까지 발달
◆고려의 대표적인 문화유산----공예[청자] , 불교건축과 대장경
찬란한 불교문화를 꽃피우던 고려시대에는 대장경의 조판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데요
거란의 침입당시인 현종때에 초조대장경이 처음으로 만들어졌고요
이후 의천이 여러 불교자료들을 모아서 속장경을 간행하게 됩니다
고려 현종 때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하여 판각한 우리나라 최초의 대장경인 초조대장경은 중국 북송의 관판 대장경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간행한 한역 대장경입니다
고려 고종때에 조판된 팔만대장경은 몽골의 침입으로
초조대장경이 불타자 만든 것인데요
고려고종당시 16년간의 작업을 거쳐 1251년에 완성을 했기 때문에
4차 침입이후 5차 침입이전에 완성된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3세기 고려시대 때 제작된 해인사 팔만대장경은 현재 세계문화유산에 지정이 되어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찬란한 불교문화를 꽃피우는 가운데 많은 불상들이 제작이 되게 되는데요
고려전기에 축조된 대표적인 불상으로는 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이 있습니다
조선 후기에 기록된 관촉사사적기에는 석조미륵보살입상의 조성 과정이 기록되어 있는데요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 때 만들어졌으며
970년작업을 시작한후 완성은 고려 목종 때가 되게 됩니다.
관촉사가 지어질 당시 혜명 스님이 장인 100여 명을 거느리고
관촉사를 건축하면서 함께 조성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은진미륵이라는 이름으로도 많이 불려지고 있습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고려 광종때 만들기 시작하여 고려 목종 때 완성
관촉사사적기에 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의 조성 과정이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