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려는 성종때에 최승로의 건의에 의하여 유교를 정치이념의 근본으로 삼았습니다.
고려 중기에는 유교가 보수적이면서 사대적인 성격을 띄었고요
사설교육기관인 사학이 발달하면서 유교가 계속 발전을 하게 됩니다.
고려는 성종
최승로의 건의에 의하여 유교를 정치이념의 근본으로 삼음
고려 중기
유교가 보수적이면서 사대적인 성격을 보임
사설교육기관인 사학이 발달하면서 유교가 계속 발전
고려중기에는 과거시험 준비를 위하여 유학을 공부하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과거시험 준비를 위하여 개경에는 많은 사학들이 있었고 사학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관이 최충헌이 설립한 문헌공도였습니다.
고려시대 대표적인 사설교육기관
최충헌이 설립한 문헌공도
고려후기에는 원나라로부터 성리학이 전래가 되면서
유교의 모습도 새롭게 변모하게 되는데요 고려말에 발달한 성리학은 조선의 기본 이념이 되게 됩니다.
고려후기 원나라로부터 성리학이 전래
고려말에 발달한 성리학---- 조선의 기본 이념
고려시대의 불교는 국가의 정책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발달을 하게 되는데요
규모가 큰 사찰에는 사원전을 지급하면서 불교를 장려 하였고 승려에게는 면역의 혜택을 주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