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알바니아어: Kosovë / Kosova 코소버 / 코소바, 세르비아어: Косово и Метохија 코소보 이 메토히야,[1] 문화어: 꼬쏘보)는 발칸 반도에 있는 지역이다. 2008년, 코소보 공화국(알바니아어: Republika e Kosovës, 세르비아어: Република Косово, Republika Kosovo)은 세르비아에서 독립을 선언했으나, 현재 세르비아는 코소보의 독립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2] 2006년 세르비아 헌법에 의거하여 자국의 주권 영토 내에서 유엔이 통치하는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세르비아어: Аутономна Покрајина Косово и Метохија 아우토놈나 포크라이나 코소보 이 메토히야)로 간주한다.
코소보는 역사적으로 제1차 불가리아 제국, 비잔티움 제국, 오스만 제국,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의 영토였다. 1389년부터 이슬람 국가인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제1차 세계대전 때 독립한 코소보는 세르비아인들에게는 오스만 제국에 맞서 항전한 성지로 여겨졌다.
소수의 세르비아인은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알바니아인들을 문화 탄압, 일자리 박탈, 인종정화라는 이름의 학살로 탄압했으며, 결국 1999년 코소보 전쟁으로 민족 갈등이 폭발했다.
나토의 개입으로 결국 유엔의 통치를 받는 지역이 되었다. 원래 1971년부터 알바니아인들에게 자치가 허용된 지구인데 1992년 공산주의 체제의 소멸로 민족주의가 대두되어 각지에서 독립을 외치자 세르비아 정부가 자치권을 박탈하였다.
코소보 독립[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08년 코소보 독립 선언입니다.
코소보의 수도 프리슈티나에 세워진 코소보 독립 선언 5주년 기념 조형물.2008년 2월 17일 코소보는 국제적인 합의 없이 세르비아로부터의 일방적인 독립을 선언했다. 총리인 하심 타치가 코소보 의회에서 독립 선언문을 낭독한 가운데, 그는 코소보가 모든 민족들의 권리를 존중하는 민주국가가 될 것임을 천명했다.
그리고 이에 코소보 의회는 독립 선언을 승인했다(선언문 영어 전문). 코소보 의회에 의해 승인받은 독립선언은 유엔의 계획에 따라 설정된 제한적 독립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 내용에 따르면, 코소보나 그 일부는 다른 국가에 편입될 수 없으며 국제 기구에 의해 감독을 받아야하고, 코소보 군대의 운용도 제한적이다.
미국과 유럽 대다수의 국가들이 코소보 독립을 지지하고 있는 가운데, 세르비아와 러시아, 중화인민공화국, 스페인은 반대를, 그리스, 루마니아 등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유럽 연합은 2000명 규모의 경찰과 검사 등
수사관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회의에서
러시아는 코소보의 독립선언이 법적으로 무효라고 주장했다.
현재 14개 국가가 코소보에 대사관을 유지하고 있다. 2009년 7월까지 61개국가가 코소보의 독립을 승인하였다.